김덕균 단장 |
그런데 간혹 자연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상처 하나 없이 피도 흘리지 않고 죽은 사람이다. 원시 인류는 그들을 바라보며 제대로 저세상에 가지 못한 특이한 경우라 생각했다. 피가 흘러야 죽은 것이고, 온전히 저세상 갔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 온몸이 멀쩡한 자연사는 저주와도 같았다.
그래서 인류는 고의로 상처를 내서 그들을 온전한 죽음으로 인도했다. 자연사한 이들 가슴 부위에 상처를 내고 피를 흘리게 한 것이다. 여기서 연유한 글자가 '글월 문(文)'자이다. 동양 최초의 글자 갑골문에 표현된 '문'자는 죽은 이의 가슴에 일부러 흉터를 내서 피가 나오게 한 형태다. 인간 됨의 표식이자 문식(文飾)이다.
이후로 '문'자는 문화, 문명이란 고상하고도 추상화된 인간만의 흔적으로 자리했다. 한동안 유행했던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에서는 이런 인간의 역사를 '인지혁명' '농업혁명' '인류의 통합' '과학혁명' 등의 몇 단계로 나눠서 설명했다. 별 볼 일 없던 인간이 지구 상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데 따른 발전 과정을 문명사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동물보다 뛰어날 것도 없는 초창기 인류는 그저 그런 존재였지만, 점차 동물 세계는 물론 자연 세계를 지배하는 위대한 존재로 부각됐다. 피를 보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했고, 또 그래야만 바로 된 인간이라 생각했던 인류가 새로운 문화와 문명을 발견하며 최고 존재로서의 혁명적 역사를 써 내려간 것이다. 그런 가운데 인류는 세 번째 '통합' 단계로 나아갔다. 이를 두고 유발 하라리는 '인지혁명' '농업혁명'의 부작용에 따른 또 다른 성과라고 했다. 각종 종교와 윤리를 만들어 경쟁에서 비롯된 갈등과 불화의 요인을 해소하며 약육강식의 동물적 단계에서 약자 보호가 담긴 인간만의 윤리적 단계로 나아간 것이다.
우리에게서는 효문화 탄생의 단계라 할 수 있다. '설문해자'에 표시된 효(孝)자는 젊은 자녀가 늙으신 부모를 짊어진 형태다. 이를 두고 한동안 효를 무조건적 순종 복종의 원리로 말하며 강자의 지배 도구로 오용한 적도 있다. 하지만 이는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대의 산물일 뿐 효의 본래 의미는 아니다. 효는 생활능력이 있는 강자(젊은이)가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약자(노부모)를 보호, 부양하는 모습에서 나왔다.
약자가 강자를 위해 헌신 봉사하는 것은 힘과 권위에 할 수 없이 복종하는 것이고, 강자가 약자를 위해 헌신 봉사하는 것은 사랑과 공경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윤리적 행위다. 효가 사랑과 공경의 자연스러운 표현이라면 당연히 후자에 속하며, 또 가정과 사회, 국가 무엇이 되었든 약자를 섬기며 존중하는 태도가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효문화가 되어야 함도 여기에 있다.
이에 한국효문화진흥원에서는 현대적 효문화 확장 차원에서 '칭찬과 감사' 릴레이 운동을 펼치고 있다. '칭찬과 감사' 릴레이는 상호 비방하며 약점 잡기에 여념이 없는 이 사회의 청량제와도 같은 운동이다. 인류통합을 위한 역사의 가장 큰 문명사적 흔적이 효문화였다면, 21세기 이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칭찬과 감사' 운동을 전개하는 것 역시 인류통합을 위한 문명사적 흔적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효의 진실한 사랑과 공경의 마음이 인류통합의 기반이 되었듯 '칭찬과 감사' 운동도 진정한 사랑과 공경의 마음이 그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