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3년과 16년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3년과 16년

  • 승인 2023-07-20 16:57
  • 신문게재 2023-07-21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사진(교사 유성은)
유성은 대전 호수돈여고 교사
3년 만에 학교로 돌아왔다. 2020년 초, 아직 마스크가 일상이 되지 않았던 코로나 초기에 학교를 벗어나 2023년, 코로나가 이미 일상이 된 학교로 돌아왔다.

오랜만에 마주한 학교가 낯설었다. 방과후학교와 야간 자율학습의 모습이, 웨일북을 통한 줌수업과 학교 입구에 놓여 있는 손소독기가, 그리고 급식실에 칸칸이 새로 설치된 가림막이 모두 그러했다. 교실마다 비치돼 있는 소독수와 체온계, 자가진단앱 또한 내게는 신문물이었다.

무엇보다도 나는 학생들이 낯설었다. 3년 내내 마스크를 쓴 채 중학교 시절을 보낸 아이들을 맡게 되다보니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거리감을 느꼈다. 세대 차가 벌어질수록 소통의 한계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지만, 아이들이 내게 보내는 신호를 읽기 어려운 것은 처음이었다. 나 또한 마스크 벽을 굳건히 세우고 있었으니 아이들 역시 내가 보내는 신호들을 알지 못했을 것 같다. 미묘한 표정 변화와 말투, 웃음을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었던 아이들과의 감정 교류가 명백히 차단된 것 같은 느낌. 마스크가 차단한 라포 형성이랄까.

급식실에서 번호대로 앉아 나란히 마스크를 내리고 점심식사를 하는 아이들의 얼굴을 볼 때도 어색했다. '저 아이가 우리반이었나?' 자문을 하며 마스크를 쓰고 있는 평소의 모습을 머릿속에서 한참 그려보고 나서야 우리 반 학생임을 확신하는 것. 이전에는 분명 필요 없던 수고로움이다.



16년차. 일상을 쉼 없이 달려오다가 뒤를 돌아보니 어느새 2023년, 학교에 입사한지 16년차가 됐다. 처음 우리 학교에서 일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종종 선배 선생님들께 "어떻게 20년 넘게 근무하셨어요?"라고 신기해하며 묻곤 했다. 선생님들은 그 질문이 재미있다는 듯 웃으셨고, 생각보다 시간이 아주 금방 갔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나는 이렇게 방과후학교와 야간 자율학습, 학생들과의 줄다리기로 힘듦을 매일 경신하는데, 20년이 금방 간다고? 이해하기 어려웠다.

지금은 선배들의 그 대답이 완벽한 정답이었음을 잘 알고 있다. 교직 생활 중 제일 힘들었던 첫해를 뜨겁게 보내고 난 후 몇 년을 거치며 점차 노하우가 생기면서 어느 시점부터는 학교 생활이 조금씩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졸업한 제자 수가 점차 늘어남과 함께 나의 근속연수도 계속 쌓였고, 아이들을 바라보는 시각과 그들을 대하는 나의 태도에도 조금씩 변화가 생겼다. 그간 학생들을 오로지 '학생들'로만 대했던 나였다. 잘못한 행동을 꾸짖고 화를 내며 너무나 실망스러워만 했던 것에서 조금씩 벗어나 안타까움과 안쓰러움의 감정을 갖게 되었다고 해야 할까. 아이들과의 나이 간극이 커질수록 오히려 학생들을 이해하는 능력은 더욱 좋아지게 되었다. 따뜻한 말을 건네며 위로하고 공감해 주니 부정적인 감정 소모를 하지 않게 되었다.

이제는 학생들이 '아이들'로 보인다. 소중한 가르침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보듬어 주고 더 이해하며 아이들을 바른길로 잘 이끌 수 있도록 나 또한 성장했다. 가끔 과거에 내가 맡았던 아이들이 생각난다. 잘못한 것을 나무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때 내가 조금만 더 참고 이해해줬더라면, 손잡아 줬더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운 마음이 든다.

3년의 내 휴직 기간 학교는 큰 변화를 겪었고, 16년차에 접어든 나 또한 '도제'를 거쳐 어느덧 원숙한 '숙련공'이 됐다. 학교에서 잠시 떠나 있던 3년 간, 나는 처음으로 멀리서 학교와 교사로서의 나를 돌아볼 수 있었다. 전염병을 겪으며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알게 된 것과 같이, 내가 학교에서 일하며 아이들을 가르치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이들을 바른길로 이끄는 안내자가 될 수 있다는 감사함. 마스크를 외면에 얹은 아이들이 내면의 마스크만큼은 훌훌 벗고 행복한 고등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내가 학교라는 공간을 통해 자란 만큼 아이들 또한 나를 통해 바르게 성장하길 바란다. 학교는 아이들에게 성장의 발판을 제공하고, 나는 아이들에게 밝은 빛을 비춰주는 멋진 길잡이, '교육 장인'이 되길 소망한다. /유성은 대전 호수돈여고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尹 파면] 윤석열 입장문 발표…"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
  4.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5. [尹 파면] 부동산 시장 '관망세' 전망 속 우려 기대 공존 분위기
  1. 50m 줄자로 사흘간 실측 끝에 "산성이다"… 본격 발굴 전부터 고고학 발견 '잇달아'
  2. [尹 파면] 교육계 "조속한 국정 안정과 교육 정상화 촉구"
  3. 소황사구·두웅습지서 생물다양성 탐사대회…23일까지 접수
  4. 천안법원, 병역법위반 재범한 천안시청 사회복무요원 '징역 8월' 선고
  5. 尹 탄핵심판 선고일 대전 둔산동 거리에 1500명 운집 예상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