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진 교사 |
그렇게 하루를 마치니 온몸에 힘이 쫙 빠지고 내적 갈등이 생겼다. '오늘 모임을 가? 말아?' 하지만 '소풍' 참석 여부에 대한 갈등의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집에 가서 당장 휴식을 취하는 것보다 모임에서 얻는 배움과 감동이 훨씬 값진 것임을 오랜 경험으로 알기 때문이다.
'소풍'은 학교 밖 학습공동체를 의미한다. 2017년 7월부터 나무학교에서 만난 국어 교사들이 매달 셋째 주 목요일에 모여 수업 고민을 함께한다. 나는 18년도부터 모임의 서기를 맡아 5년 넘게 우리의 만남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5월 18일의 모임을 잠깐 소개하고자 한다. 여는 시로 박노해 시인의 <동그란 길로 가다>를 한 줄씩 읽고서 한 달 동안 지낸 이야기와 현재의 마음을 돌아가며 나눈다. 전투적인 하루를 보낸 데다 개인적인 고민이 있던 나는 이미 시를 읽자마자 마음이 무장 해제된다.
"긴 호흡으로 보면 좋은 때도 순간이고 어려울 때도 순간인 것을, 돌아보면 좋은 게 좋은 것이 아니고 나쁜 게 나쁜 것이 아닌 것을, 삶은 동그란 길을 돌아다니는 것 삶은 동그란 길을 돌아나가는 것, 그러니 담대하라 어떤 경우에도 너 자신을 잃지 마라 어떤 경우에도 인간의 위엄을 잃지 마라"
한 줄 시가 갖는 매력은 이런 것이다.
복잡하게 얽혀있는 마음의 실타래가 봄눈 녹듯 녹아내리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해결책을 발견해 마음이 정화되는 순간! 국어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고민하며 살아가는 모임 참석자들이 눈빛과 호흡만으로도 연결되는 순간이다.
다음 순서는 '공감하며 대화하기'를 주제로 한 수업 사례 나눔이다.
지식적인 부분을 다룬 단원이 아니라 수업 설계부터 쉽지 않았던 선생님의 고민에 공감하고, 학생들과 할 활동을 미리 해보며 교사 아닌 학생의 입장을 체험해 본다.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가장 듣고 싶은 말' 설문조사 결과 순위를 맞히는 게임을 하며 정답을 맞히지 못한 학생의 좌절감을 발견하고 설계했던 수업을 일부 수정하기로 한다.
다음은 점자 동화책 만들기 실습 활동이다. 동아리 시간에 학생들과 점자를 찍고 동화책을 완성해 장애 아동을 위해 기부까지 했다는 선생님의 경험담이 훈훈하다.
직접 챙겨온 휴대용 점자 인쇄기로 간단한 문구를 찍어보며 이걸 학교에 가서 언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고민하는 것만으로 가슴이 벅차오른다.
자신이 가진 걸 기꺼이 나누어 주며 모임을 기획한 선생님들과 어떤 활동도 마음을 열고 배움의 자세를 가지고 들어주는 선생님들의 마음이 일치한다.
아무리 지치고 힘들어도 소풍 모임에만 참석하면 나의 고민이 우리의 고민이 되고, 서로 온기를 나누며 스스로 옳은 방향을 찾아 나갈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짐승들과 마주 앉아 나는 자꾸만 한 숭어리 꽃 같은 빛깔을 어쩌지 못한다. 쓰다듬으며 조금은 떠는 꽃잎 꽃잎 조그만 몸뚱아리 속에 가만히 들어와 쉬는 하늘 그 하늘을 들여다보면서 나는 저들이 좋아서 어쩌지 못할 때가 있다."
한성기 시인의 <산에서 1>을 닫는 시로 오늘 모임의 벅찬 감동을 갈무리한다. 연대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함께 손잡고 동그란 길을 담대히 걸으며, 성장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나의 손길 하나로 조금씩은 떠는 순진무구한 아이들을 품으며 나는 다음 달도 즐겁게 소풍을 갈 것이다./김혜진 천안신방중학교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