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평생 천재 연구에 몰두한 앤드루 로빈슨도 '타고난 천재'나 어느 날 갑자기 위대한 발견을 성취하는 '깜짝 천재'는 있을 수 없다고 말하면서 천재는 "타고난 재능과 그것을 배양하는 노력"이라는 요소가 적절히 결합할 때 나타나는 존재라고 말하였습니다. 따라서 천재는 후천적인 '땀'도 중요하지만 '타고난 재능'이 더욱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늘, 탐구하고 싶은 것은 정신질환을 포함한 광기(狂氣)는 천재성을 증가시키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셰익스피어는 '한여름 밤의 꿈'에서 미치광이의 광기와 시인의 창조성은 심리적으로 공통의 기반 위에 있음을 역설했습니다. 즉 "광인, 연인, 시인/ 이 모두는 상상력 속에 뭉뚱그려지나니"라고 말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많은 학자가 창조적 업적을 남긴 이른바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들에 대한 정신 병력을 조사했습니다. 네틀은 헨델, 고흐, 버지니아 울프 등 예술 창조자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분석하면서 결론적으로 서구 문명의 전형은 대부분 광기가 있었던 인물들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결론을 지었지요.
그러나 여러 연구에서 네틀의 가설과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살았던 바이런, 슈만, 고흐의 자기 파괴적인 삶과 예술은 광기와 천재성 사이의 연관성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반면 앤드루 로빈슨의 '천재의 탄생'에서 언급된 10명 중 다윈이나 아인슈타인 등 5명은 정신병 증상이 있고, 다빈치나 모차르트 등 5명은 정신 병력이 없다고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 123명의 예술가를 분석한 조사에 의하면 "우울증 기질이나 현대적 개념의 과민하고 소외된 기질은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그런데 가장 흥미로운 연구는 심리학자 와이즈 버그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슈만과 디킨슨이라는 저명한 두 예술가에 대한 것입니다. 두 사람 모두 조울증(躁鬱症)을 앓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디킨슨의 증세가 슈만보다는 약했다고 합니다. 슈만은 한 번 이상 자살을 시도했으며 결국 정신병자 수용소에서 굶주림으로 짧은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디킨슨은 슈만보다는 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지만, 그도 20년 가까이 은둔생활을 했지요. 슈만은 최대 작품을 만들어 낸 시기가 두 번 있었는데 (1840년과 1849년) 이때는 둘 다 조증(躁症)의 해로 각각 평년작을 훨씬 상회하는 25개 이상의 곡을 썼습니다. 당연히 1840년은 슈만이 클라라와 결혼한 해라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지요. (앤드루 로빈슨 참조) 그런데 작곡의 양은 많았지만 조증 상태에서 작곡한 음악이 우울증에 빠졌을 때 쓴 곡과 비교하여 더 뛰어나다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즉 슈만은 조증 시기에 왕성한 작곡 의지를 보였지만 그것이 창조의 질을 개선시키지 않았던 것이지요. 이에 비해 디킨슨은 조증 시기에 평소보다 작품의 수나 질적에서 우수하다는 증거가 나타나서 슈만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정신 장애와 창조성 간의 결정적 관계를 입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대체로 광기에는 천재성에 관해 무언가 말해주는 것이 있다는 정도로 의견이 모아집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