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그런데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3중의 장애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그가 바로 헬렌 켈러입니다. 19개월 만에 열병을 앓고 난 후 시력과 청력을 잃었습니다. 그래서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3중의 장애를 갖게 된 것이지요. 그런 그녀가 하버드 부속 레드클리프 대학을 졸업하고 전 세계 장애인들을 위한 사업에 평생을 헌신했습니다. 헬렌 켈러의 인간 스토리는 세상에 많이 알려졌지요.
헬렌 켈러가 쓴 23장으로 된 자서전은 그녀가 대학 3학년 때 완성되어 단행본으로 출판한 바 있습니다. 그녀는 자서전을 쓰면서 "그저 어두운 감옥, 그 그늘 아래 있는 것만 같을 뿐이다. 그러므로 살아온 이야기를 늘어놓아 자칫 독자를 지루하게 만드는 게 아닐까 싶어… 여기서는 에피소드만을 소개할 생각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 자서전보다도 헬렌 켈러가 53세에 쓴 수필에 주목하고 싶습니다. 이 수필은 '사흘만 세상을 볼 수 있다면'인데 시력과 청력을 잃고 살아온 긴 세월 동안 그녀가 간절히 보고 싶고 하고 싶어 했던 일을 상상하며 기쁨에 들떠, 생각들을 조목조목 묘사한 글입니다. 그래서 세계적인 잡지 '리더스 다이제스트'는 이 에세이를 '20세기 최고의 수필'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사흘만 볼 수 있다면, 첫째 날에는 사랑하는 이의 얼굴을 보겠다고 했습니다. 다정함과 친절함과 우정으로 내 삶을 가치 있게 만들어 준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당연히 앤 설리번이 포함되어 있으나 많은 친구들을 만나고 싶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오직 손끝으로 얼굴의 윤곽을 더듬어 가며 볼 수 있을 뿐이지만 친구들의 눈빛이나 표정이 변하는 것을 보면서 그들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없기 때문에 "표정의 미묘한 변화, 근육의 떨림, 손의 흔들림 등을 관찰하여 사람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쓰고 있습니다.
둘째 날은 여명과 함께 일어나 밤이 낮으로 변하는 황홀한 기적을 보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낮에는 박물관도 가고 미술관도 갈 것입니다. 예술을 통해 인간의 영혼을 탐구하면서, 멀쩡한 눈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일갈했지요.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람들도 대부분 예술 세계는 어두운 밤과 같다고 말하더군요. "아름다움의 가치는 경시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셋째 날에는 사람들이 오가는 평범한 거리를 보겠다고 했습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평범한 삶을 살펴보고 싶은 것이지요. 뉴욕의 환상적인 고층 건물이 펼쳐져 있습니다. 이 얼마나 경이로운 광경인가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꼭대기로 서둘러 올라갈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도시의 사람들을 직접 보기 위해 먼저 분주한 교차로에 서서 그 사람들을 쳐다보며 그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싶습니다. 내 눈은 사소한 것 하나도 가벼이 지나치지 않고 눈에 들어온 것 하나하나를 어루만지고 끌어안고자 애쓸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그녀에게 허락된 사흘은 지나갔습니다.
헬렌 켈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은 한둘이 아니나 "나는 눈과 귀와 혀를 빼앗겼지만 내 영혼을 잃지 않았기에, 그 모든 것을 가진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라는 그녀의 말을 되뇌며 부끄러운 생각이 드네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