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 이슈토론이 5일 오전 11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실패를 찬양하라! 실패를 품어주는 청년문화를 기리며!'를 주제로 열렸다. 사진 왼쪽부터 신천식 박사, 이형복 대전세종연구원 박사, 민태인 충남대 학생, 소정섭 충남대 학생. 사진=윤주원 기자 |
사람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의 한국사회는 과도한 경쟁과 서열 우선주의, 승자독식이 만연해 한 번 실패한 사람을 낙오자로 인식하는 한편 실패가 두려워 도전하기를 꺼리고 미리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들을 '3포 세대, 6포 세대, 무한포 세대'로 부르는 등 신조어까지 난무하고 있다.
미래를 이끌어 갈 젊은 세대들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실패를 관용하는 문화와 함께 실패경험이 다음의 성공을 위한 디딤돌이 되도록 스스로 노력하는 열정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5일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는 '실패를 찬양하라! 실패를 품어주는 청년문화를 기리며!'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대전세종연구원의 이형복 박사와 지난달 열린 충남대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에서 실패 자원화 공모전 부분 최우수상을 받은 민태인, 소정섭 학생이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실패는 온점이 아닌 반점"이라고 운을 뗀 민태인 학생은 "교과목 프로젝트에는 실패했지만 여기서 끝내지 않고 다시 새롭게 재도전해 상까지 받게 됐다. 이번 경험으로 실패는 결과가 아닌 성공을 쟁취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것을 깊게 깨달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형복 박사는 "일본은 팀플레이가 잘 되는 사회다. 어떤 행사가 끝나고 나면 '반성회'를 열고 잘한 것과 잘못한 것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시간을 갖는 데, 이처럼 실패한 것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점검하는 문화가 보편화 돼 있다"며 "우리나라도 실패 경험의 자산화 및 재도전을 지지하는 정책과 문화 확산을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실패박람회를 열고 있다. 실패는 완전한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라는 인식을 갖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함께 이야기 나누고 서로를 지지하고 응원해주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안전 분야에서는 실패학을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안전에 실패한 사례를 분석해 실패 원인을 제거하면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정섭 학생은 "지금의 다이슨을 성공반열에 올려놓은 효자상품인 진공청소기는 그가 5126번 실패하고 5127번째로 만든 시제품이 성공해 시장에 나온 것이다. 그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았기에 수많은 도전과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결국 새로운 혁신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라며 "한국사회는 실패 아니면 성공이라는 이분법적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넘어졌어도 일어나서 걸어가면 성공이다. 넘어졌을 때 무력하게 일어서지 못하는 것이 진정한 실패다. 더는 도전하길 두려워하지 않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옥란 기자 seven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