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혜 대전 덕송초 교사 |
6학년 국어 교과서 1단원 <비유하는 표현>에는 다양한 시가 담겨 있다. 독서를 좋아하는 아이들이지만 교실에서 시를 읽는 모습은 찾기 어렵다. 이는 아이들이 시를 읽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고, 시 읽기에 재미를 느끼는 이들이 드물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 속 시의 소재가 '뻥튀기'라면 아이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것 같다. 먹는 것은 아이들의 동기유발을 하는 데 가장 좋은 소재이니까. 아이들과 시를 읽으며 뻥튀기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나부터 벌써 군침이 돈다.
본격적으로 시를 읽기 전에 아이들과 뻥튀기를 먹은 경험을 나눈다. 학기 초라 아직은 발표에 쭈뼛쭈뼛한 아이들이지만, 역시나 먹는 것과 관련한 이야기에는 적극적이다. "저는 동그란 뻥튀기를 제일 좋아해요", "저는 옥수수 강냉이요." 그래, 오늘은 너희들이 좋아하는 그 뻥튀기에 대한 시를 낭송해보자.
"가을날 메밀꽃 냄새가 납니다…. 새우 냄새가 납니다…. 멍멍이 냄새가 납니다…." 뻥튀기하는 걸 구경할 때 느꼈던 그 고소한 냄새를 상상 속에서 느끼며 아이들과 시를 낭송한다. 그러다가 문득 궁금해졌다. "여러분, 혹시 뻥튀기하는 모습을 실제로 본 적 있나요?" 15명의 아이 중 반 이상은 손을 들 거라고 예상했는데 그보다 훨씬 적은 2명만이 손을 든다. 뻥튀기하는 모습을 본 아이들이 거의 없다니. 과연 뻥튀기하는 모습을 실제로 본 적이 없는 이 아이들이 뻥튀기 시를 마음으로 온전히 느낄 수 있을까? "그럼 우리 뻥튀기 하는 모습을 지금 실제로 보기 어렵지만, 영상으로 살펴볼까요?" 영상을 보고 나서야 아이들이 시 속에서 뻥튀기하는 모습에서 왜 함박눈이 내리는 것 같다고 비유하는지, 폭죽 같다고 하는지 알겠다며 끄덕인다.
그런데도 한편에 아쉬움이 남는다. 뻥튀기 냄새를 후각적으로 비유한 표현도 아이들과 함께 느껴보고 싶은데…. 그러다가 번뜩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메밀꽃 향기는 간접 체험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여러분 가을날 메밀꽃 냄새 맡아봤나요?" 나도 맡아본 적 없는 그 향기를 도시 아이들도 맡아보았을 리가 없다. "메밀꽃 냄새는 우리가 직접 맡기 어렵겠지만 메밀차를 마시는 걸로 대신해 볼까요?" 무언가를 먹는다는 이야기가 나오니 아이들의 호응이 뜨겁다. 교실 안에 가지고 있던 메밀차 티백을 꺼내 아이들에게 하나씩 나눠 주었다. 메밀차 티백을 받은 아이들이 물병에 티백을 넣는다. 메밀차를 맛본 아이들의 호응도가 예상보다 더 좋다. "선생님, 메밀차가 진짜 뻥튀기랑 맛이 비슷해요.", "둘 다 구수해요.", "선생님, 시에서 뻥튀기 튀기는 냄새에서 메밀꽃 냄새가 난다고 하는지 알겠어요" 오늘 국어 수업은 성공한 것 같다. 다행이다.
아이들과 삶과 배움이 연결되는 수업을 끊임없이 만들어 나가고 싶다. 앎은 교과서 안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펼쳐나가는 것임을 느끼는 시간을 나누고 싶다. 학년 초, 부모님이 시켜서 공부한다고 이야기하던 아이들이 1년 후에는 공부해야 하는 궁극적인 이유를 깨닫고, 공부가 즐거울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기를 바라며….
/이윤혜 대전 덕송초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