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5월 대전 유성 계룡스파텔에서 유해발굴 과정에서 수습된 유품과 전투장비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중도일보DB) |
22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에서 찾은 6·25전사자 유해는 국방부 차원의 유해발굴 사업이 시작된 때보다 3분의 1수준으로 급감했다. 국방부가 공시적으로 6·25 전사자 유해발굴을 시작한 2007년부터 5년간 전국 산야에서 4808구의 유해를 찾았으나, 지난해 기준 최근 5년간 발굴한 전사자 유해는 1515구에 그쳤다. 1950년 전쟁발발 당시 병적기록부와 호적 등 행정체계가 제대로 적립되지 않았고 남은 기록도 손글씨를 가장 흘려 쓴 초서체 형태 판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투가 벌어진 곳곳에 흩어진 전사자 유해를 모아 마을 주민들이 가매장한 곳을 찾으려면 지역주민과 참전용사의 증언이 필요하나 6·25세대 상당수가 세상을 등지고, 고령화하면서 국방부 제보도 급감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아파트 등의 도시화가 이뤄지면서 6·25세대 고령화가 겹쳐 앞으로 5년이 조국에 목숨을 바친 전사자 유해 발굴에 마지막 골든타임으로 여기고 있다.
특히, 유해를 수습한 경우에도 대부분 전사자의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어 후손 세대의 유전자정보(DNA) 시료채취 동참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방부는 올해 충남 금산과 충북 단양 등 36개 지역에서 유해발굴 추진과 동시에 유가족 유전자정보 시료 채취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근까지 8만6575명의 유전자정보를 채취했으나 이중 신원이 확인된 경우는 204명에 불과하다. 유류품이 없는 유해에서 이름과 가족관계를 파악하는 수단은 유전자정보 비교뿐이다. 그러나 지난해 이뤄진 유가족의 DNA채취 1만1279명 중에 8455명(75%)은 국방부 소속 '유가족 탐문담당 기동채취'팀에 의해 이뤄졌고, 전사자 유가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보건소와 보훈병원에서는 오히려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은 최근 대전에서 전사자 유가족을 초청한 간담회 자리에서 "주요 격전지가 도시로 개발되고 시간이 오래 지나는 동안 지형도 바뀌어 증언과 목격담이 제일 중요한데 6·25세대가 고령화되었다"라며 "전사자 유해가 어디에 있는지 제보와 증언이 절실하고, 유가족들께서는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