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일 연극비평가 |
사람을 만나러 가는 길에 강폭이 넓고 물이 흐려 건너기 힘들다면, 뒤를 돌아보지 말고 흐린 강물이 되어 디딤돌을 놓아야 한다. 우리는 '삶의 노을'이 질 때까지 사람을 만나기 위해 강물을 건너려 애쓰면서, 강물이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감내하면서, 다른 디딤돌을 늘 수고롭게 예비하면서, 사람을 만나러 다니는 인생을 산다. 연극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이를 담담히 풀어내고 있다.
이 연극은 연출을 맡은 도완석의 자전적인 삶의 속내가 녹아든 초연 창작극. '봄 여름 가을 겨울' 속 봄은 어린 시절, 여름은 청년 시절, 가을은 중년 시절, 겨울은 노년 시절이란 순환적인 삶의 디딤돌로 이어져 흐린 강물이 되어 흘러간다. 6.25 때 부모를 잃은 시골의 한 소년이 누나를 고향에 두고 혼자 아버지를 찾으러 서울에 갔다가 자수성가해 유명한 판사가 된 뒤 갖은 고생을 뒤로하고 살아온 누나를 찾아가는 삶의 이야기이다. 궁핍하고 엄혹한 시대를 실제로 살아냈던 동시대인들이 자신의 떠나보낸 강물을 되새겨 볼 계기가 되면서 세대 구분 없는 시대극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자신의 과거에 대한 물음과 대답에 있어서조차 변덕스러운 존재이기에 연극 속 등장인물들은 삶에 속임을 당하면서 빗나간 '봄, 여름, 가을, 겨울' 속, 인생이란 강물을 건너간다. 그 속에서 배고파 울고 추워 울고 잃어버린 가족들 그리워 울고 사람 인심 서럽고 더러워 울기도 한다. 그러다 사람 사이의 흐린 강물을 인정하면서 다행히 나한테는 어릴 적부터 예배당에 다닌 덕에 신앙이 있어 힘들 때마다 고비를 넘기며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삶을 성찰하고, 게다가 차분히 참아내며 사람다움을 잃지 않는다. 즉 자전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삶을 사유하고 치유하는 예술 체험으로서의 '치유극(Healing play)'으로 자리 잡는다.
무대는 관객의 간접 체험현장이다. 사계(四季)가 옴니버스(omnibus)식 무대 형식으로 연결되는 가운데, 그 속에서 수준 높은 생활 연기를 보여준 베테랑 배우들의 연기는 새롭게 합류한 장애우, 다문화가정 아역 배우들과의 부딪힘과 어울려 극에 활력과 신선감을 더해 주었다. 특히 극의 흐름을 조율하는 드라마 트루기(Dramaturgy)적 감각 연기를 보여준 이종국 배우는 극의 중심을 잡아주었다. 또한 시대적 현장감은 영상화면, 자막해설, 흘러간 트롯 등이 무대 위에서 당대의 사실적 모습으로 재현되었는데 '이 작품'을 볼만하게 만든 놓칠 수 없는 또 하나의 감상 포인트가 됐다.
궁핍한 시대를 살아낸 우리들의 자화상인 '봄 여름 가을 겨울'. 작/연출가의 '개인사적인 고백이라는 사적 역사'를 뛰어넘어 6.25전쟁, 분단, 4.19, 새천년으로 이어지는 공적 역사 속 기억의 체험을 '다성(多聲)적 예술 장치'를 통해 '자신이 만들어낸 의미의 망'으로 육화한 '좋은 작품'으로의 즐거운 만남이었다. '청소년들에게 인성 회복, 올바른 역사 가치관 정립 등을 목표로 한 생활교육 연극'을 가로질러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모든 이(부모와 자녀)들이 무대 앞에 손잡고 함께 앉아 볼 수 있는 연극으로 '재탄생'하기를 기대한다.
6월의 더위를 품은 바람을 맞으며 공연장을 나서는데 마지막 트롯 곡인 양희은의 '인생의 선물'이란 노래 속 청아한 목소리와 "일장 춘몽이라카드니 모두 다 그렇게 사라지는 갑다.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은 이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진다 카는 말씀이 맞는기라 이기 인생인 줄도 모르고"란 정남의 독백이 흐린 강물을 건너며 디딤돌 찾기에 바쁜 필자의 발걸음을 힘 있게 해줬다. / 김충일 연극비평·북 칼럼니스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