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유대선 교수 |
▲옆구리 통증으로 '떼굴떼굴'
# 40대 직장인 김 씨는 최근 여러 차례 소화가 안 되고 속이 더부룩한 불편함을 겪었다. 소화제를 먹으며 대수롭지 않게 넘겨왔으나, 얼마 전 옆구리에서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정도까지 발전했다. 앉아도, 누워있어도 쉬이 수그러들지 않는 통증에 김 씨는 급기야 응급실을 스스로 찾아갔다. 김 씨에게 내려진 진단은 예상 외로 '요로결석'이었다.
요로결석이 여름철 대표 질환이라 불리는 것은 데이터가 증명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자료에서도,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6월부터 더위가 주춤해지는 9월까지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했으며, 8월 무렵 정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로결석이 계절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바로 '땀' 때문이다. 땀을 많이 흘리면 소변량이 줄고 결석을 일으키는 물질이 소변 내에 오래 머무르면서 결석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요로결석 월별 환자 추이 (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요로결석은 환자의 임상증상과 신체검사, 소변검사에 의해 진단되고 방사선 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된다. 소변검사에서 혈뇨 소견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나 일부에서는 혈뇨가 없을 수도 있고, 반대로 가끔 눈으로도 혈뇨를 확인할 수도 있다. X-ray검사 시 결석이 보이지 않거나 진단이 애매할 경우라면 추가 검사를 시행한다. 추가 검사로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또는 요로조영술(IVP)이 있다. CT 촬영의 경우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되는데, 정확도가 매우 높아 최근 주로 권고되고 있는 진단 방법이기도 하다.
▲신장 기능의 '영구 손실' 유발할 수도
요로결석의 증상들은 주로 소변이 지나가는 길을 결석이 막음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신장에서 배출되는 소변이 막힌다면 신장이 재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5mm 이하의 작은 결석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충분한 수분 섭취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을 받더라도 바로 치료에 임하지 않고 자연배출을 위해 기다려보기도 한다. 하지만 결석이 더 크다거나 혹은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요로결석의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있으며, 이는 결석을 잘게 부수어 쉽게 배출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내시경 수술 등을 통해 결석을 레이저로 부수고 직접 꺼내는 치료법도 있다. 치료 방법은 결석의 크기나 모양,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문의와 함께 결정하도록 한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유대선 교수는 "일시적이라면 금방 회복되겠지만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신장 기능의 영구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며 "더불어 고여 있는 소변에는 세균이 더 쉽게 증식할 수 있어 신우신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도 안심할 수 없게 된다"고 말한다.
▲10년 내 재발 예방은 어떻게?
안타깝게도 요로결석은 재발률이 높다. 요로결석을 치료한 후에도 1년에 7%가량 재발해 10년 이내 평균 50%의 환자에서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는 것이 좋다. 하루에 2~3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과다한 단백질이나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레몬, 키위, 오렌지와 같이 구연산이 많이 함유된 과일이나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아울러 규칙적인 운동은 체중 감량과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대사 활동을 촉진해 결석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고강도의 운동은 탈수 등으로 인해 오히려 결석을 유발 할 수 있으니 운동 강도 선택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유대선 교수는 "요로결석의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외에도 식이 습관과 생활 습관의 변회 등을 통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