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0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대전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토론회. [출처=대전시] |
7월 발표를 앞두고 도전장을 낸 지자체와 정치권, 지역사회의 전방위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 3개 시·도는 우수한 첨단산업 연구 인프라와 높은 산업 연계성, 지역균형발전의 당위성을 내세워 유치전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특화단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를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계획 중 하나다. 특화단지로 지정한 곳엔 인허가 신속 처리와 기반 시설 구축, 전력·용수 인프라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첨단산업을 육성할 기회인 만큼 공모엔 세종·강원을 제외한 대다수 지자체가 도전장을 냈다.
대전은 반도체, 충남은 디스플레이, 충북은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신청했다. 공모 초기 높은 경쟁률을 우려해 전망이 엇갈렸던 것과 달리 최근엔 특화단지 지정에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대전은 반도체 인재 양성 4대 국책사업을 유치한 점을 근거로 내세운다. 최근 대전시와 KAIST, 충남대는 반도체공학대학원,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양자대학원, 반도체공동연구소 구축사업을 유치했다. 명실상부한 반도체 인재 양성 중심지로서 우위를 점하게 된 것이다. 자연히 대전이 구상한 팹리스, 생산·소부장, 연구개발 반도체 특화단지와도 연계성이 높아 특화단지 지정 가능성을 높였다고 자신하고 있다.
충북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는 중이다. 청주에 공장을 둔 SK하이닉스와 네패스가 국가첨단전략기술 선도기업으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특화단지 선정 요건 중 하나인 빠른 기술혁신이 가능한 요건을 충족해 유리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대가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점도 인재 양성·수급 차원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판단했다.
4일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에서 '디스플레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규 투자 및 상생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출처=충남도] |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모한 지자체들이 특화단지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고 반도체의 경우 산업 기반이 수도권에 집중돼 무작정 결과를 낙관할 수 없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실제 반도체 특화단지에 도전한 경기도 지자체는 8곳에 달한다. 내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특화단지가 정치 논리에 좌우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특화단지 지정 당위성이 충분한 데다 최근 여러 국책사업도 유치하면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일각의 정치 논리 개입 가능성도 나오지만, 정부가 엄정하게 심사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마지막까지 특화단지 지정에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