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최근 은둔형 외톨이에서 비롯된 사회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만큼 중도일보는 세 차례 시리즈를 통해 은둔형 외톨이의 실태와 현실 그리고 이들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3. 필요한 건 '희망'…손 내밀어 눈높이 맞춰야
앞서 언급한 일본의 사토리 세대를 비롯해 미국의 두머(Doomer) 세대, 중국의 탕핑족 등 은둔형 외톨이에서 발전한 세계의 각 세대들은 모든 것을 포기한 채 미래를 준비하지 않는단 공통점을 가진다. 오늘의 삶보다 내일의 삶이 더 나을 것이란 희망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으로, 날이 갈수록 고도화되는 사회의 일원이 되지 못한 이들은 냉소와 허무주의 속 결국 사회적 교류를 끊고 스스로 집 안에 갇히는 길을 선택하고 있다.
은둔형 외톨이들은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결혼과 연애, 직장, 꿈까지 포기하는 것으로 이어져 각종 사회병리 현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들을 무작정 밖으로 끌어내는 것이 아닌 자발적으로 사회와 교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방 안에 있는 것보다 밖으로 나가는 것이 더 나은 미래를 선사할 것이란 희망을 심어줄 수 있는 정책과 인프라가 조성돼야 한다는 뜻이다.
장은진 한국침례신학대 상담심리학과 교수는 "은둔형 외톨이는 자신에 대해 비관적이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며 지금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해 은둔과 고립이 지속되는 악순환을 겪는다"며 "이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적·제도적 지원 근거가 마련돼야 하며 당사자를 부정적으로 낙인찍고 구별 짓는 행위를 근절할 수 있도록 범시민적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사회가 관심을 주고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동시에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조사와 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법적 지원 근거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현재 불분명한 정책적 지원 대상자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관련 복지사업의 당위성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명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창현 국회의원(국민의힘·비례)은 "2020년에 청년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각종 지원 정책은 여전히 청년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청년자립지원법을 조속히 추진하고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 대한민국의 청년들이 당당하게 사회로 진출할 수 있도록 사회가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 안에 갇힌 사람들에게 성급하게 문 두드려서 빨리 나오라고 해봤자 의미는 없을 것이다. 관련 법제화는 물론 지역에서의 실태 파악과 이들과 공감할 수 있는 인력을 확충하는 것까지 함께 연계해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대전이 전국 시·도에서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에 주목하며(대전 37.6%, 전국 평균 33.4%) 각종 부작용이 유발되기 전에 관련 지원 조례와 인프라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민경배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은 6월 제271회 정례회에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제정안'을 대표발의 했으며 기초자치단체에서도 고립된 사람들에 대한 지원과 조례를 제정하기 위해 분주한 상황이다.
김기흥 대전 대덕구의원은 "은둔과 고립 문제는 당장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인 만큼 상급 기관들의 방안과 결정을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며 "최근 집행부와도 관련 내용을 의논하고 있다. 기초단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는지 동료 의원들과 계속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끝>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