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태흠 충남지사, 김영환 충북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출처=중도일보 DB] |
대다수 현안이 단순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충청권 전체 이익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올 1월 닻을 올린 충청권 초광역 메가시티 구상과도 이어져 지자체 간 초광역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세운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최근 산적했던 충청 주요 현안들은 조금씩 물꼬를 트고 있다. 대전~세종~청주 광역철도가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2021년 7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지만,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이 재차 미뤄져 지역 내 우려가 적지 않았다. 결국 정부의 1차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도 들지 못했는데, 최근 상황이 급반전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앞선 7일 충북 청주시청 제2임시청사 중앙광장에서 열린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사업 착공 기념식에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광역철도 건설을 약속했다. 이후 주관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청주 도심을 통과하는 노선안을 원안으로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에 힘입어 지역에선 기대감이 높지만, 갈 길은 아직 멀다. 당장 예비타당성 조사 문턱을 넘어야 하고 구간별로 사업비와 운영비, 노선안 조정, 운행 횟수나 열차 칸량도 협의가 필요하다. 추진 과정에서 지역 입장에 따라 대전, 세종, 충북 간 이견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때문에 일찍 협의 조정을 거친다면 좀 더 빠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충청권 광역철도 1, 2단계 사업안. [출처=대전시] |
시간이 지날수록 갈등은 증폭되고 있다. 각자 주장만 되풀이하는 와중에 충청 4개 시·도 체육회도 입장에 따라 나뉜 양상이다. 대전·세종·충남체육회는 회장 명의로 공동성명을 내 대한체육회의 조직위 구성안 수용을 촉구했으나, 충북체육회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대전시의회도 12일 성명을 통해 "560만 충청인의 열망을 꺾고 있다"며 대한체육회를 직격했다. 갈등이 길어질수록 합동 개최지로서 이미지 훼손과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한 만큼 충청권 4개 시·도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높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도 7월 발표를 앞두고 있다. 대전은 반도체, 충북은 반도체와 이차전지, 충남은 디스플레이 분야에 도전했다. 특화단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넘어 미래 먹거리 육성과 충청권 산업구조 전반을 강화할 모멘텀과도 같다. 지자체 간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2차 공공기관 이전, 답보에 놓인 국회 세종의사당, 지방 이전 기업에 혜택을 제공하는 기회발전특구 유치도 충청권 4개 시·도의 공조가 필요한 사안이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3월 24일 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27 하계U대회 창립총회에 참석해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기원하고 있다. [출처=대전시] |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