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남성현 산림청장이 2023년 산사태 방지 대책에 대해 발표하는 모습 (사진=산림청 제공) |
산림청은 산사태 우려 지역을 비롯해 산사태·산불 피해 복구지 등을 산사태 집중관리 구역으로 지정해 피해 방지 대책에 나섰다.
산림청은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언론 브리핑을 열고 '2023년 전국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산사태 피해가 1278건이 발생했는데, 피해면적은 327㏊로 10년 평균 대비 34% 증가했다.
전국 산사태 취약 지역 2만 7400곳 중 충청권에서는 대전 511곳, 세종 95곳, 충남 1655곳, 충북 1925곳이 지정돼 있다. 지난 10년간 충청권의 연평균 산사태 피해 면적 역시 630㏊에 달하는데, 최근 연평균 강수량이 증가하고 국지성 집중호우가 심화 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봄철 충청권에서 대형산불이 잇따라 발생해 토사 유출 등으로 산사태 피해 발생 가능성도 크다.
이런 가운데 산림청은 산사태 취약 지역, 산사태·산불 피해 복구지 등 전국 2만 9243곳을 집중관리 대상 지역으로 지정해 현장 점검과 응급조치에 나섰다. 10월까지 산사태 우려지에 대해 수시로 현장 점검하고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재난 대응을 위한 실전훈련도 진행한다.
특히 올해는 주민 대피 골든 타임을 위해 산사태 예측정보를 기존 24시간에서 48시간 전까지로 앞당겨 알리기로 했다. 태양광, 벌채지 등 인위적 변화지를 반영한 산사태 위험지도도 제공할 계획이다.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피해 즉시 '산림피해 조사·복구 추진단'도 운영하기로 했다. 산림청, 지자체, 민간전문가가 합동 현장조사를 통해 피해·복구 물량과 복구액을 산정한다. 국토부와 연계해 일반국도변 인근 토석류 발생 우려 지역 현장 실태조사도 나서기로 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청은 숲 가꾸기로 산사태에 강한 건강한 숲을 조성함은 물론, 과학적 기반의 철저한 사전예방과 신속한 대응·복구로 산사태로 인한 피해 최소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