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수 공주대 전 총장 |
그러나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교육환경 속에서 총장 재직 동안 느꼈던 아쉬운 점도 많았기에 기회 있을 때마다 독자들과 교육에 대한 여러 생각들을 나누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하고 싶다.
우리가 흔히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논할 때 각자 중시하는 바가 다를 것이다. 역사학자들은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려하고,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논하기 보다는 현재에 집중하자는 사람들과 과거와 현재에 말목 잡히면 미래를 놓친다며 걱정하는 이들도 많을 것이다. 모두가 상황에 따라 일리 있고 또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적어도 교육적 측면에서 이 땅의 청년들을 생각할 때 필자는 과거나 현재보다는 미래와 그들의 가능성에 좀 더 집중하는 것이 청년들에게 큰 희망과 동기부여를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우선 대학서열화의 문제를 들여다 볼 때 우리 사회는 너무나 과거에 집착하는 경향이 크다는 생각에 유감이다. 우리는 이미 100세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겨우 유·초·중등 교육과정의 성적으로 대입 경쟁이 시작되고, 또 서열화 된 대학의 졸업장으로 한 인간의 일생 즉 미래가 크게 좌우된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합리적이지 못한 것 같다.
인간은 각자 타고난 재능이 다르다. 또 성장하는 동안 집안 형편 등 주위 환경이 각자 다를 것이다. 그야말로 인생의 출발점 자체가 다른 가운데 정해진 학습과정을 이수하며 누적된 성적 등이나 단 한 번의 수학능력시험 결과를 가지고 대학을 결정한다. 그리고 서열화 된 대학의 명성으로 어떤 개인에게는 장밋빛 미래가 보장되기도 하고 또 다른 개인에게는 씻을 수 없는 주홍글씨가 되어 미래가 발목 잡히기도 하니 아무리 생각해도 이것은 아닌 듯하다.
좀 더 합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청소년기까지는 정해진 다양한 과목들을 이수하며 자신의 소질이나 혹은 좋아하거나 잘하는 분야에 대해 점검한 후, 대학에서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집중하는 것이 상식으로 여겨진다. 또 대학 재학 중에도 융합학문에 대한 선택을 다양하게 도모 할 수 있기에 적어도 한 개인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대학생활과 그 이후를 중시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이라 여겨진다. 그래야만 과거나 혹은 서열화 된 대학의 명성이란 적은 정보에 의존해 개인의 미래가치나 능력을 섣부르게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대학입학이나 졸업식장에서 이제 개인들에게는 새로운 기회의 시간이 공평하게 주어졌으며 지금부터 한번 해볼 만한 진정한 경쟁이 시작된다는 언급을 자주했다. 그 말은 다른 한편으로 우리 사회에 대해 대학서열화라는 인식을 개선하자는 주장이기도 했다. 즉 대학과정부터 개인들에게는 새로운 시작이 되고 또 대학을 졸업할 때 각자가 선택한 분야에서 현재와 미래에 대한 능력을 정당하게 평가받는 상식을 회복하자는 표현이었던 것이다.
그래야만 우리 청년들에게 안주보다는 도전의식을, 이른 절망보다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는 가운데 우리 시회가 좀 더 합리적이며 공평한 가운데 인식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대학서열화에 대한 인식이 더욱 심화 및 고착돼 가고 있는 현실적 우려 속에서 필자는 우리 사회의 대다수 청년들이 과거 때문에 발목 잡혀 미래에 대한 가능성이 저평가되어 절망하지 않길 진정으로 바란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그러한 쪽으로 인식의 개선을 이룰 때 비로소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 등 연계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이 조금씩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원성수 공주대 전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