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
최근 국립극단 창작공감 작품이었던, '몬순'(이소연 작, 진해정 연출)은 전쟁의 바깥에서 바라보는 전쟁 이야기를 다루었는데, 각자의 시공에서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전쟁이라는 거대한 괴물에 대한 이야기를 촘촘하게 엮어간다. 잔잔한 바람이기도 하고, 소나기가 되어 사방으로 퍼붓기도 하는 몬순처럼, 우리는 이 연극에서 그렇게 다르게 나열되는 그 조각난 파편들의 이야기가 사실, 깊숙이 스며들어 곪아버린 하나의 '전쟁 현실' 당사자로서 우리의 이야기라는 것을 이내 깨닫게 된다. 어린 소년의 대사에 이런 대목이 있다. "그 괴물의 유리 알갱이가 나한테 날아온 거야! 세상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산책, 그게 진짜였어. … 눈을 비벼도 거기 있었어. 괴물의 몸에, 분명…(작게) 내가 있었어."라는 아이의 악몽은 폭탄이 떨어지고 살상이 이루어진 전장이 아니었음에도 고스란히 그 전쟁을 감각하게 된다. 어제의 전쟁의 고통은 나와 별개의 것이 아니다. 그 비극의 기억이 나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왜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고통은 끝나지 않고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것인가 하는 질문을 나는 이 연극의 무대에서 기억하지 않을 수 없었다.
평화를 주제로 강화도를 읽는 이동형 공연 '강화도 산책: 평화도큐먼트'(전윤환 연출)을 얼마 전에 다녀왔다. 2021년부터 진행해온 이 작품은 창작자의 지역리서치를 통해 구 강화대교 앞에서부터 시작해 '갑곶선착장 집단양민학살지', '6.25참전용사기념공원', '연미정', '고려천도공원도로', '교동도' 등을 잇는 세 시간여 지역산책 프로그램이다. 강화도에서 생활하는 청년세대가 바라보는 지역의 역사, 생태계, 문화를 엮은 이야기를 통해 '남과 북', '평화'에 대해 관객과 소통한다. 이들의 리서치와 함께 발화되는 각 개인의 서사는 오늘의 '평화'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고도 진실한 목소리로 전해지면서, 관객은 접경지역 강화도를 둘러싼 분단의 긴장감과 고요한 평화가 공존하는 기이한 오늘의 경험을 몸소 체험하게 된다. 나는 이 접경의 철책선 산책이야말로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산책'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철책을 넘어 어스름한 해안선을 타고 건너가는 것과 건너가지 못한 것을 바라보면서, 지금까지 그토록 추념하고 있는 어제를 통해 '과연 무엇을 변화시켰단 말인가'하는 자책과 함께 이질화된 섬에 체화되어 내 폐부가 딱딱해짐을 느끼게 된 것이다.
호국보훈의 달이다. 우리는 '전쟁' 현실을 실감해본다며 뉴스매체든 소셜미디어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참상을 드론 영상으로 시청하면서 짐짓 가슴 아픈 현실이라고 가볍게 말하고 있지는 않은지 모를 일이다. 또는 그 무참한 시쳇더미와 파괴된 폐허 앞에서 '생각하기 시작하면 끝도 없다'며 이를 지나쳐 버릴 수도 있다. 어쩌면 역사와의 진실한 화해와 한 울타리의 평화는 그 지난한 과정에 있는지 모른다. 벌어진, 벌어지고 있는 이 '고통의 감각'은 사유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각자의 이야기가 어떻게 연결되어 평화를 향한 걸음이 될 것인지 우리는 경계에 서 있다. 유월, 그 내림의 플랫이 이제 치유를 위한 받침대가 되려면, 그 길고 긴 상실의 시간 이후에 우리가 어제에 어떻게 손을 흔들어야 할 것인가를 발견해야 한다. 그래야 그 고통스러운 산책 이후, 오늘 여기에서 그 시작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조훈성 연극평론가, 충남시민연구소 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