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악담과 동격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악담과 동격

망루탄주(網漏呑舟)

  • 승인 2023-06-1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한동안 우울증으로 힘들었다. 사람을 만나는 것조차 의도적으로 피했다. 휴대전화도 일부러 끄기 일쑤였다. 그러던 중 막역한 친구들이 모임에 참석하라며 성화를 부리기에 갔다.

우울증을 경험한 바 있는 친구는 우울증은 마음의 병이라며 어서 툭툭 털고 일어나라며 덕담을 안겼다. 덕분에 기분이 많이 좋아졌다. 이처럼 좋은 대화는 사람의 기분까지 바꿔준다.

대화(對話)는 사람을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을 뜻한다. 여기에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말씀 담'(談)이다. 그럼 또 다른 '담'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회담(會談)은 모여서 이야기함이고, 장담(壯談)은 확신을 가지고 자신 있게 하는 말이다. 속담(俗談)은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와 사람들이 마음속에 깊은 동감을 얻고 널리 퍼진 격언이며 세속에 관련된 이야기를 뜻한다.



덕담(德談)은 상대방이 잘되라고 비는 말이며, 악담(惡談)은 남이 못 되도록 하는 나쁜 말이다. 험담(險談)은 남을 헐뜯어서 하는 말이며, 괴담(怪談)은 괴상한 이야기다.

좌담(座談)은 마주 자리를 잡고 앉아서 하는 이야기이고, 진담(眞談)은 진정에서 우러나온 거짓이 없는 참된 이야기다. 농담(弄談)은 실없는 말이며, 재담(才談)은 재치가 있게 하는 재미스러운 말이다.

밀담(密談)은 남몰래 비밀히 하는 이야기이고, 만담(漫談)은 재미있고 익살스러운 말로써 흥미를 끈다. 음담(淫談)은 음탕한 이야기이며, 한담(閑談)은 심심풀이로 하는 이야기로 그리 중요하지 않은 말이다.

방담(放談)은 생각나는 대로 거리낌 없이 하는 말이고, 소담(笑談)은 우스운 이야기를 뜻한다. 상담(相談)은 말로 상의함이며, 면담(面談)은 서로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간담(懇談)은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함이고, 정담(情談)은 다정한 이야기를 말한다. 필담(筆談)은 말이 통하지 아니할 때 글을 써서 서로 묻고 대답하는 일 또는 그 문답을 뜻하며, 항담(巷談)은 거리에 떠도는 소문이다.

가담(街談)은 아무 곳에서나 함부로 논의되는 말이고, 청담(淸談)은 속되지 않은 청아한 이야기 또는 남의 이야기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혼담(婚談)은 혼인을 정하기 위하여 오가는 말이며, 경험담(經驗談)은 몸소 겪고 치러 본 이야기다.

모험담(冒險談)은 모험을 하면서 겪은 사실이나 행동에 대한 이야기이고, 무용담(武勇談)은 싸움에서 용감하게 활약하여 공을 세운 이야기다. 지금까지 '담'에 관한 이모저모를 살펴봤다.

그 많은 '담'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정담(情談)과 청담(淸談)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사회는 과연 어떠한가. 현행법의 맹점을 교묘히 이용한 전세 사기범들로 인해 벌써 4명이나 되는 세입자가 극단적 선택으로 목숨을 버렸다.

민심을 읽고 방향타(方向舵)를 조종해야 할 정치인은 국회 상임위원회 활동 중에도 가상화폐에 거래하는 따위로 거액을 벌었다는 혐의로 의원직 사퇴 요구가 거세다. 이러한 사회적 탁류 현상은 급기야 저잣거리로까지 확산됐다.

지난 6월 4일 방송된 KBS2TV '1박 2일'에서는 경북 영양군의 전통시장에서 파는 옛날과자 가격을 두고 바가지 논란이 불거져 누리꾼들의 공분이 일파만파로 번졌다. 1만 원대인 1.5㎏ 과자 1봉지를 무려 7만 원에 바가지를 씌워 파는 장면이 전파를 탄 것이 발단이었다.

저간의 이런 현상을 보면서 망루탄주(網漏呑舟)라는 느낌이 들었다. 이는 '그물이 새면 배도 그 사이로 지나갈 수 있다'는 뜻으로, 법령(法令)이 관대(寬大)하여 큰 죄(罪)를 짓고도 피할 수 있게 됨을 비유하는 한자성어다.

채만식의 장편소설로 유명한 탁류(濁流) 현상이 개탄스럽다. 탁류는 악담(惡談)과 동격이다.

홍경석/ 작가, <두 번은 아파 봐야 인생이다> 저자

두아빠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