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섭 대전문화유산답사기 저자 |
우리 동네에는 과연 어떠한 문화재가 있을까요? 물어보면 대부분 잘 모른다고 대답하지요. 그러면 우리 주변에는 동네 한가운데, 마을 입구, 공원 주변, 밭 가장자리나 산 입구에 오래된 보호수가 보통 200여 년 넘는 둥구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등이 있어서 동네 어른들이 보호수 아래에서 대화하거나, 일하시다가 휴식하는 곳으로 지역의 사랑방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장승이나 돌탑, 선돌은 대부분 마을 입구에 있으면서 마을 입구로 들어오는 잡귀나 질병을 막아 준다고 하여 오래전부터 마을 주민들이 합심하여 제를 올린 것이 대부분이었다. 최근에는 코로나19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마을 주민들이 조용히 제를 지내는 것을 보았지요. 그리고 대형 건축물이나 아파트가 신축되면서 일부 옮겨지고 그냥 우리도 모르게 사라졌으며, 지역이 발전하면서 도로가 확장되어 대부분 파손되고 현재는 별로 남아 있지 안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 지역에는 많은 성씨 문중들의 재실이 대부분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것으로 행사가 있는 설날, 추석, 집안 제사 등에는 집안 어른들이 모여서 집안 제사를 지내면서 관리가 잘 되고 있어서 다행이지만, 외부인이나, 관람객들이 출입을 못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나마 옛 관공서나 문화재로 지정된 곳은 관리가 되고 있으면 문화 해설사가 배치가 되어서 관람객들에게 자세한 설명과 예절이나 주의점을 들을 수가 있지요. 일부에서는 대문이 잠겨 있어서 담장 밖에서만 보고 그냥 스쳐 가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그나마 고인돌은 외부에 그냥 있어도 파손되지 아니하지만, 일부는 출입을 통제하는 곳도 있습니다.
문화재를 이해하고 배우는 방법으로는 우리 지역에 있는 국립박물관이나 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으로 대전선사박물관, 한밭교육박물관, 지질박물관, 옛터민속박물관, 충남대학교 박물관과 자연사박물관,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과 자연사박물관, 대전대학교 박물관, 배재대학교 박물관 등 전문박물관이 있으니 관람하여 문화재를 배우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요즈음은 지역 단체나 모임에서 자기 지역의 문화를 답사하여 인솔자의 설명을 듣고 나서 풀 제거나 먼지 털기, 주변 청소 등을 하면서 배우고 있는 것을 종종 답사 시 알 수 있지요. 우리 동네 문화재는 내가 먼저 사랑하려고 하려면, 화재 우려가 있는 곳에는 소화기가 비치된 곳이 있지만, 취약한 곳에 있는 목조건축물은 대부분 소화기가 없으니, 최소한 소화기가 비치되도록 노력했으면 합니다. 목조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되는 것을 TV이나 신문에서 종종 보았어요.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 화재 방지를 위해서는 소화기 비치가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지역에 계시는 개인 단체나 회사, 학교, 개인들이 최소한 노력을 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지정문화재가 있는 곳에는 문화재 설명 판이 있는데 관람객들은 대부분 그냥 출입하는 것을 보았는데, 이제는 답사하기 전에 인터넷으로 먼저 확인하시거나 문화재 입구에 설치된 것을 우리부터 먼저 내용을 읽어보고 관람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니 반드시 지켜주시기를 바랍니다. 삼문 출입구가 있는 곳에서는 반드시 우측으로 진입하여 반대편으로 나오면 되며 가운데 출입구는 일반인들이 출입하면 안 됩니다. 목조건축물 툇마루에 오를 때는 반드시 신을 벗고 올라야 하며, 뛰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다시 한번 문화재를 이해하고 우리 동네 문화재는 어디에 있는지 파악을 하고 내가 먼저 사랑합시다.
이광섭 대전문화유산답사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