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신 청장 |
대전의 대표 중심지였던 중구도 이러한 도시의 성격에 따라 이동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일찍이 중구는 대중교통의 요충지로 상업과 행정의 중심지였으나, 90년대 둔산신도시의 개발로 주요 관공서가 이전하고 2013년에는 충남도청까지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도심 공동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서두에서 말했듯 도시는 유기체이고 발전의 중심은 항상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수평적 확장을 꾀할 수 있는 가용 공간으로 중촌동 중촌근린공원 일대를 주목했고, 중촌벤처밸리 조성을 민선 8기 제1호 공약으로 내세우며 대전의 중심지로 가는 발판을 만들고자 한다.
중촌벤처밸리는 중촌근린공원과 인근 호남선 가용 공간을 재배치해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과 공영주차장, 공공도서관, 행복주택 등을 확충해 청년이 모여 일하고 즐기며 정주할 수 있는 도시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 사업화 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대상지 실태 조사와 토지 이용 계획 등 기본 구상안 마련을 진행 중이다. 공영주차장은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으로 신설 예정인 중촌역 인근에 조성하기 위해 관련 행정절차를 마치고 6월부터 사업대상지의 토지 보상을 추진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고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도 관련 분석 용역을 바탕으로 2024년도 신규사업 신청서를 대전시에 제출하는 등 추진되고 있다.
이외에도 정주 기반 시설 확충을 위해 공공도서관과 행복주택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협의하는 중에 5월 18일 대전시의 발표는 문화예술 발전과 함께 중구에 새로운 변화와 희망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전시는 중촌근린공원을 중심으로 4500억 원을 투입해 대전 어디서나 다양한 전시와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제2시립미술관과 음악전용공연장 등 대규모 문화예술 복합단지를 특화된 디자인으로 건축해 대한민국의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제2시립미술관의 모델로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을 제시했다. 구겐하임 미술관이 들어서기 전까지(1997년 기준) 빌바오는 스페인에서 경제·인구 규모에 있어 20위에 더 가까운, 유럽에서조차 존재감 없던 중규모의 도시였다. 20세기 초 철강과 화학공업 등으로 스페인에서 가장 부강하던 이곳은 70년대 중공업 경제위기로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인구가 급감해 경제적인 낙후는 물론 산업·항만 폐부지의 방치로 암담한 도시환경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도시 부활을 위해 절치부심하던 빌바오시는 1991년 '빌바오 메트로뽈리 30'이라는 재생추진협회를 구성하고 6년 만에 '구겨진 종이 더미' 형태의 독특한 미술관을 선보이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후 상징문화시설을 통한 도시재생의 성공을 의미하는 '빌바오 효과'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단순한 성공을 넘어 화려한 문화도시로 새로운 자리매김을 한다.
'신은 자연을 만들었고 인간은 도시를 만들었다'는 영국 시인 윌리엄 쿠퍼의 말이 있다. 신이 만든 강산도 10년이면 변하는데 인간이 만든 도시는 누가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는 비전과 노력에 따라 하루하루 변할 수 있다.
보문산과 베이스볼드림파크와 오월드, 뿌리공원으로 이어지는 관광 도시, 중촌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도시라는 새로운 비전을 가지고 사람이 모이고 사람들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김광신 대전 중구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