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청소년 마약 사건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는 만큼 해당 단어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약처는 5월 16일 지방자치단체와 식품 또는 음식점 명칭에 '마약' 용어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협의회를 열었다.
협의회에서는 식약처와 지자체 모두 규제 필요성에 공감하고, 식품 등에 마약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지자체에서는 식품접객업 영업신고서를 제출하거나 가공식품 품목제조보고 시 상호나 제품명 등 일부에 마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영업자에게 권고·홍보할 계획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이 같은 결정을 한 데에는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전달하기 위해서다.
최근 청소년 사이에서 발발하고 있는 마약 사건과 관련해 마약이라는 단어가 쉽게 사용돼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10대 청소년 마약사범은 최근 5년간 3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전체 마약사범 가운데 10대, 20대 비율은 2017년에 15% 수준이었으나, 2022년엔 34.2%로 배가 늘어난 상황이다.
대전시도 협의회 이후 마약 용어 사용 자제에 나섰다.
대전에도 마약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음식점을 쉽게 볼 수 있다. 마약 떡볶이, 마약 양꼬치, 마약 국밥, 마약 김치찌개, 마약 찜닭 등까지 다양한 업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시는 향후 인·허가 시 마약 용어가 사용됐을 경우 영업자에게 자제해 줄 것을 권고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상호에 마약 단어가 들어간 영업점은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큰 범죄인 마약이 생활 곳곳에서 쉽게 사용되면 어린 아이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식약처와의 협의회 이후 자치구에 식품접객업 신고 시 마약 단어 사용 자제를 권고해 줄 것을 전달했고, 기존 영업점의 경우엔 변경을 요청하는 홍보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