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2012년부터 시작된 대전 마을합창단은 성악 전공자로 구성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사전에 노래 실력을 테스트하지도 않습니다. 희망하는 동민(洞民)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데, 중년 주부들이 위주가 되고 80대의 할머니도 참여하지요. 평소 지역을 위한 공연이나 지역별로 발표회가 있어서 꾸준히 연습합니다, 처음에 음치 수준의 사람들도 나중에는 제법 좋은 소리를 내게 되고, 발표회 때는 무대복을 입고 나가 뽐내요. 모여서 연습할 때는 동네 분들이 간식이나 식사도 대접하기 때문에 사기가 올라 있는 합창단이 꽤 많이 있습니다. 이것 자체가 화합이고 협동이 아닌가요?
합창은 여럿이 같이 부르는 노래로 쉽게 설명할 수 있겠으나, 정확하게 설명하면 합창의 기본 형태는 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스의 혼성 4부 합창입니다. 소리의 성질에 따라 어린이·남성·여성합창 등으로 나눌 수도 있지요.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합창이 시작되었으나, 우리나라는 1910년경 황성기독교청년회 내에 경성 합창단이 최초의 합창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전에서 합창을 강조하는 것은 합창이 갖는 상징성 때문입니다. 합창은 나만의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파트나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으면서 함께 어울려 소리를 내는 것이지요. 사실, 각기 다른 파트나 어느 개인이 자신들의 소리만 강조하면, 하모니가 이뤄질 수 없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이것은 세상의 이치와도 부합합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자기 목소리만 강조하고 다른 사람의 얘기를 경청하지 않는다면, 공동체의 화합을 이룰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합창은 공동체에서 요구되는 경청, 공감, 그리고 인정이라는 덕목이고, 이것은 '소리의 어울림'인 것입니다. 공동체 내에서도 각기 다른 주장이나 의견이 있지만, 자신의 소리를 낮추고 옆 사람의 소리를 들어야 화합이 이뤄지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대전 마을합창단은 '화합과 협동의 상징'이며, 이것이 대전의 정체성이기도 합니다.
뭐니 뭐니해도 합창의 최고봉은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입니다. 독일의 시인 실러의 시 <환희의 송가>에 음을 붙인 것이지요. 베토벤의 교향곡 합창은 사랑, 평화, 환희를 주제로 해서 휴머니즘과 동포애를 노래한 곡으로 유명합니다. 교향곡 제9번 합창의 초연은 1824년 5월 7일 베토벤 자신의 지휘로 행해졌는데, 귀가 들리지 않는 베토벤은 등 뒤에서 일어나는 청중의 환성과 박수를 전혀 느끼지 못했지요. 겨우 단원의 도움으로 뒤로 돌아 박수 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었고, 그런데도 곰처럼 무뚝뚝하게 고개를 숙일 뿐이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교향곡 제9번 합창은 귀가 들리지 않는 지휘자와 청중 간의 교감 현장을 환희와 연민의 도가니로 만들었다는 상징성도 있습니다.
대전이 지향하는 정신은 '합창의 정신'입니다. 이것은 대전의 특징인 멜팅포트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대전 마을합창단이 더욱 활성화되어, 대전의 곳곳에서 합창 소리가 끊이지 않기를 염원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