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올해 내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이 예정된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가 충청 내 거점도시를 연결해 지역 간 공간적인 단절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빠른 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는 물론 지역 정치권의 긴밀한 협조와 공동 대응이 요구된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충청권 광역철도 1, 2단계 사업안. [출처=대전시] |
문제는 여기부터다. 국토교통부가 국가철도공단에 의뢰한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이 재차 미뤄지면서 당초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2022년 11월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 조사는 올 3월로 미뤄지더니 다시 6월로 연기된 상황이다. 사전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탓에 최근 선정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우려는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가 늦어질수록 충청권 초광역도시 조성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초광역도시 실현의 최대 조건은 교통망이다. 광역철도는 충청권 거점도시인 대전, 세종, 청주를 공동 생활권으로 묶어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교통수단이다. 실제 광역철도에 GTX급 열차를 도입할 계획인 만큼 이동시간은 대거 단축될 전망이다. 정서적으로 거리감이 큰 대전과 청주(충북)를 잇는다는 점도 의미가 깊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비수도권 광역철도 구축안. [출처=국토교통부] |
조속한 교통망 구축을 위해선 지자체 간 긴밀한 협조와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인 공동 대응이 절실하다. 그럼에도 청주공항까지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이유로 청주 도심 통과를 부정적으로 보거나 대전~세종 구간을 먼저 착공하자는 등 지역별 이익만을 앞세운 주장이 적지 않다. 충청의 미래 생존과 연결된 초광역도시 구상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정부에도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는 국토교통부에서 최적노선 선정과 사업 내실화를 위해 현재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이 진행 중"이라며 "조만간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에 신청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 여기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사업의 빠른 착수를 위해 세종, 충북과도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