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선 대전여고 교장 |
탄성을 자아내는 공간의 탄생은 '사용자 참여 설계'를 도입한 학교 공간 혁신 사업 중 '공간 수업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결과로 탄생했다. 학생들에게 학교 공간에 대해 탐색하게 한 후 바꾸고 싶은 공간을 선정하게 하고 어떤 공간으로 만들고 싶은지 의견을 듣고 설계에 반영한 후 공간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학교 근무 25년 동안 한 번도 들어보지도 못했던 사업이었다.
학생들에게 학교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는 사실 자체부터 놀라웠고 '과연 잘 될까?' 의구심이 들었다. 우리에게 학교 공간은 주어진 공간이었지 우리가 만들어가는 공간이라는 것은 생각조차 못했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학생들은 동굴형 학습 공간과 다락방을 만들어 달라는 엉뚱한 의견을 제시했다. 공간 수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학생TF 두 팀이 제안한 공간 디자인을 놓고 투표를 했는데, 다락방 안이 압도적으로 찬성표를 받았다. 함께 참여했던 선생님들은 '불가능할 텐데'라는 생각으로 웃을 수 밖에 없었다. 참여했던 학생들의 열망과 열정적인 모습을 보았기에 걱정이 앞섰다. 의견을 내라 해 놓고 안 된다고 하면 학생들이 실망할 것은 자명했다. 그런데 학생들의 수업을 이끌어 주셨던 건축사님은 학생들의 열망을 담은 기본설계 밑그림을 그려 주셨고 학생들이 상상했던 공간이 학교안에 만들어졌다.
완성된 공간을 보며 그 때 생각했다. 우리는 그동안 아이들의 의견을 우리의 경험과 잣대로 평가하면서 '안된다'고만 말해 왔던 것은 아닐까? 그 후로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기존의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려고 부단히 노력했고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그 결과 학교 안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공간들이 만들어졌다.
학교를 생각할 때 우리에겐 늘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가로로 긴 교사동과 운동장 네모난 교실과 네모난 책상, 긴 복도는 어느 학교에서나 볼 수 있는 풍경이다. 1962~1992년 사이에 지어진 많은 학교들이 '학교시설 표준 설계도'를 적용받아 비슷한 형태로 학교로 건설됐기 때문이다. 표준 설계도에 의해 지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틀은 바꿀 수는 없다. 그렇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공간들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 수는 있다. 네모를 지양한 가구 배치와 다양한 색과 인테리어 소재의 사용만으로도 현대적이고 세련된 공간으로 바꿀 수 있다.
학교의 여러 공간들을 재조성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행복한 참살이 배움터'를 목표로 현재는 학교 생활에 만족할 수 있는 공간, 졸업 후 먼 훗날에는 친구들과 나눌 수 있는 추억 거리를 많이 쌓을 수 있는 학교공간 만들기, 배움이 일어나는 학교 공간 만들기의 기본원칙을 세우고 이를 지켜가며 공간을 하나씩 채워 나갔다.
현재 많은 학교들이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은 단순한 공간 인테리어가 아니다. 미래의 학교는 학교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도 배움이 일어나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담긴 학교 공간들로 채워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교 공간을 바꿀 때 학생들에게 원하는 학교살이를 마음껏 상상하게 해 주자.
네모로 가득한 공간에서의 학교살이가 지루해지지 않도록 아이들이 꿈꾸는 학교가 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애들아 상상하렴, 함께 만들어보자!" 학교마다 색깔과 특성이 다른 다양한 학교의 모습을 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김미선 대전여고 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