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초연결성 사회를 말하다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초연결성 사회를 말하다

김재석 소설가

  • 승인 2023-05-08 10:42
  • 신문게재 2023-05-09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김재석 소설가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란 단편소설에서 세가지 질문을 던진다. 사람의 마음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허락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물론 이 세 질문은 소설에서 하느님이 천사장 미가엘에게 직접 인간 세상에서 경험해 보라고 내 준 질문지이다. 미가엘은 구두수선공 부부의 도움을 받으며 이 질문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다. 인간의 마음엔 본질적으로 측은지심 즉, 어려운 자를 불쌍하게 여기는 사랑의 마음이 있다는 걸 알았고, 인간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다는 것을 이해했고, 인간은 서로를 의지하며 궁극적으로는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러시아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문호인 톨스토이의 이런 깨달음이 그들 국민들 마음에 잘 심어져 있었다면 오늘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는 일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초강대국인 러시아 입장에서 우크라이나는 단 며칠 만에 점령할 수 있는 나라라고 가볍게 여기고 전쟁을 시작했다 지금 1년 이상을 고전하고 있다. 전쟁에 대한 위기감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측은지심이 유럽동맹을 뭉치게 했고, 전쟁 지원에 적극 나서면서 우크라이나는 결코 쉽게 무너지지 않는 민주주의의 상징적인 국가가 되었다. 러시아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한 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무지를 깨달았을 것이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톨스토이의 깨달음에 대해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이해에 도달했다. 바로 모든 물질에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작용하며, 이 우주는 텅 빈 공간 같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 장으로 연결되어 서로 초연결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현상으로 나비효과를 들 수 있다. '어느 한 곳에서 일어난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뉴욕에 태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론으로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에 대해 사용하는 말이지만, 한 인간의 작은 행동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는 것도 이에 비유된다. 서로 개별적인 존재라면 이런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유독 보상심리가 강한 사회적 동물이다. 특히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선물했을 때는 그에 상응하는 보답을 받기를 원하기도 한다. 일종의 보상심리도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았나 싶을 정도이다.

그런데 이 보상은 꼭 누군가에게 직접 받는 것을 의미하지만은 않는다. 초연결성은 우리가 에너지장으로 다 연결되어 있어서 우리가 베푼 행동은 사라지지 않고, 다른 누군가를 거치고 거쳐서 결국에는 자기에게로 돌아온다는 선순환적 구조를 말한다.

물론 이것은 역순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자신의 악행이 자기에게 돌아오는 악순환적 고리를 상상할 수도 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 말 한마디는 다 에너지장을 미세하게 흔들고-물리학에서는 양자진동에너지라고 말한다- 이것이 나비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에 의해 더욱 초연결성 사회를 실감하고 있다. 우리 인류가 그동안 쌓아온 지식을 인터넷 바다에서 학습한 인공지능이 드디어 인간과 대화가 가능하고 어쩌면 초월적인 존재로 부상할 수 있는 세계에 살고 있다. 챗GPT라는 인공지능이 그 첫발을 뗐다.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나 이상기후 현상이 계속되면서 전 지구적 재앙이 닥칠 것에 대한 두려움도 켜졌다. 여기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끝나지 않는 것을 보며 세계평화에 대한 믿음도 점점 세계대전에 대한 가능성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대물리학이 발견한 양자역학의 현상에서 생겨난 말 중에 이런 말이 있다. '모든 가능성은 겹쳐져 있지만, 펼쳐지면 운명이 된다.' 우리가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면 그 피해는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다. 선순환의 고리로 돌아가는 것은 결국 톨스토이의 말처럼 궁극적으론 사랑을 회복하는 길이다.
김재석 소설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4.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5.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1.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2. 대전 학교 내 성비위 난무하는데… 교사 성 관련 연수는 연 1회 그쳐
  3.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4. "출산 회복 도움되기를"… 대덕구, 지역 최초 산모회복비 지원
  5. 즐거운 성탄절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