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문호인 톨스토이의 이런 깨달음이 그들 국민들 마음에 잘 심어져 있었다면 오늘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는 일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초강대국인 러시아 입장에서 우크라이나는 단 며칠 만에 점령할 수 있는 나라라고 가볍게 여기고 전쟁을 시작했다 지금 1년 이상을 고전하고 있다. 전쟁에 대한 위기감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측은지심이 유럽동맹을 뭉치게 했고, 전쟁 지원에 적극 나서면서 우크라이나는 결코 쉽게 무너지지 않는 민주주의의 상징적인 국가가 되었다. 러시아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한 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무지를 깨달았을 것이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톨스토이의 깨달음에 대해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이해에 도달했다. 바로 모든 물질에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작용하며, 이 우주는 텅 빈 공간 같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 장으로 연결되어 서로 초연결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현상으로 나비효과를 들 수 있다. '어느 한 곳에서 일어난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뉴욕에 태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론으로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에 대해 사용하는 말이지만, 한 인간의 작은 행동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는 것도 이에 비유된다. 서로 개별적인 존재라면 이런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유독 보상심리가 강한 사회적 동물이다. 특히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선물했을 때는 그에 상응하는 보답을 받기를 원하기도 한다. 일종의 보상심리도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았나 싶을 정도이다.
그런데 이 보상은 꼭 누군가에게 직접 받는 것을 의미하지만은 않는다. 초연결성은 우리가 에너지장으로 다 연결되어 있어서 우리가 베푼 행동은 사라지지 않고, 다른 누군가를 거치고 거쳐서 결국에는 자기에게로 돌아온다는 선순환적 구조를 말한다.
물론 이것은 역순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자신의 악행이 자기에게 돌아오는 악순환적 고리를 상상할 수도 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 말 한마디는 다 에너지장을 미세하게 흔들고-물리학에서는 양자진동에너지라고 말한다- 이것이 나비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에 의해 더욱 초연결성 사회를 실감하고 있다. 우리 인류가 그동안 쌓아온 지식을 인터넷 바다에서 학습한 인공지능이 드디어 인간과 대화가 가능하고 어쩌면 초월적인 존재로 부상할 수 있는 세계에 살고 있다. 챗GPT라는 인공지능이 그 첫발을 뗐다.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나 이상기후 현상이 계속되면서 전 지구적 재앙이 닥칠 것에 대한 두려움도 켜졌다. 여기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끝나지 않는 것을 보며 세계평화에 대한 믿음도 점점 세계대전에 대한 가능성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대물리학이 발견한 양자역학의 현상에서 생겨난 말 중에 이런 말이 있다. '모든 가능성은 겹쳐져 있지만, 펼쳐지면 운명이 된다.' 우리가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면 그 피해는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다. 선순환의 고리로 돌아가는 것은 결국 톨스토이의 말처럼 궁극적으론 사랑을 회복하는 길이다.
김재석 소설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