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 복원 연구결과 발표하는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 (사진=산림청 제공)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27년간의 연구성과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강원도 고성 산불 이후 산불피해지 산림생태계의 회복과정을 밝히고,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복원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1997년에 약 153ha의 장기연구지를 설치해 연구하고 있다.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 삼척 지역에 4000㏊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하기도 했다.
그동안 산불피해 장기연구지에서는 조림복원과 자연복원 등 복원방법을 연구해왔다. 산불피해 정도에 따른 숲의 변화를 밝히고자 산림생물, 토양, 수자원, 복원체계 개발 등도 연구 대상이었다.
연구 결과, 산불 피해지에 조림된 수종 중 소나무의 산림 복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불 피해지에 소나무와 활엽수 수종을 심어 초기 생존율을 비교해본 결과, 1년 후 생존율은 소나무 평균 89%, 활엽수 평균 53%로 소나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초기생존율은 조림복원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라 볼 수 있다. 소나무의 높은 생존율은 산불피해지와 같은 척박한 토양에서 소나무가 잘 자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산림 소유자의 84.6%가 산불 피해지 복원 시 소나무를 심길 원했다고 산림과학원 측은 설명했다.
산불 이전 상태로 산림 생태계가 회복되기까지는 20년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 생물 다양성 회복을 연구한 결과, 산불 발생 이후 어류는 3년, 수서동물 9년, 곤충(개미)은 14년 안에 회복됐다. 하지만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81~86%(개체 수 기준), 조류는 62~72% 수준에 불과했다. 산림과학원은 산림생물의 회복을 촉진하는 서식지 개선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강원 고성 장기연구지의 자연복원지(좌)와 조림복원지(우) (사진=산림청 제공) |
산불 발생 20년 후의 숲과 토양의 회복력을 살펴봤을 때 조림복원지의 소나무는 강원지방 소나무 평균 키의 85~130%까지 자랐고, 적절한 밀도를 유지했다. 반면에 자연복원지의 신갈나무는 신갈나무 평균 키의 23~90%에 불과했고, 입지에 따라 키와 밀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경우,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 모두 산불 발생 후 2~3년이 지나면서 유기물과 양분이 서서히 증가했다. 다만 20년이 지난 후에도 조림복원지는 미 피해지에 비해 유기물은 32%, 양분은 47%, 자연복원지는 각각 47%와 63%로 낮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의 유형에 맞게 복원기준을 탄력성 있게 개선하고, 결정 체계를 자동화해 의사결정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산불피해지 복원 지침(매뉴얼)'을 개선할 예정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산불피해 장기 관찰(모니터링)과 기술 개발로 산불에 강하고 경제·사회·환경적 가치를 반영하는 산림복원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