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스며드는 관계 속에서 마음을 챙길 줄 아는 1반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스며드는 관계 속에서 마음을 챙길 줄 아는 1반

  • 승인 2023-05-03 10:16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박소리 선생님 사진
박소리 조치원대동초 교사
"선생님, 우리가 잘해 낼 수 있을까요?"

문득, 눈이 펑펑 내리던 작년 12월 어느 날 관계 중심 생활교육 학생 나눔 한마당에 참가를 위해 이동하던 중 버스 안에서 우리 반 아이들과 나누었던 대화가 떠오른다.

우리 학교는 읍면 지역에 있어서 아이들이 많은 학생이 모이는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적고, 그래서 아이들도 나도 더욱 긴장했던 기억이 난다.

'스마일반-스며드는 관계 속에서 마음을 챙길 줄 아는 1반'



2022년 초등학교 6학년 담임을 맡고 아이들과 만든 우리 반 이름이다.

내가 근무하는 지역은 학교가 많지 않아 초등학교에 형성된 교우관계가 중학교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오랜 시간 좋은 친구 사이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 번 관계가 틀어지면 중학교에 진학해서까지 불편하게 지내는 경우도 많다.

'교사로서 아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일까?'

아이들이 늘 웃으며 생활했으면…,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했으면…, 서로가 좋은 관계를 맺었으면…, 중학교에서도 서로 친하게 지냈으면…. 교사로 부임한 이후 학년 초에 아이들과 한해살이를 계획하며 늘 비슷한 고민을 했다.

그리고 매번 아이들이 건강한 관계를 맺고, 즐겁게 생활하는 것이야말로 행복한 학교생활이라는 결론을 내리곤 했다.

스마일반 운영은 그 고민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관계를 가장 중심에 두고 1년 동안 학급 생활교육 교육과정을 설계했다.

한 해 동안 살아갈 학급을 만들며 소속감을 키우는 학급 울타리 짓기, 나를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기르는 마음 짓기, 함께하는 놀이로 웃음이 끊이지 않는 학급을 만드는 웃음 짓기, 친구를 이해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관계 짓기, 함께 이야기하고 편히 쉬는 공간을 만드는 스마일 카페 짓기, 한 해 동안 추억을 돌아보는 추억 짓기……. 우리 반의 한 해는 모든 구성원 서로가 마음에 관계의 집을 짓고, 미소를 나누며 성장한 시간이었다.

'지식이 넘쳐나는 시대에 교사의 역할은 과연 무엇일까?'

아이들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인공지능에서도 얼마든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지금 학교와 교사의 역할은 과연 무엇일까?

아이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다양한 이들과 어울려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 아닐까? 이러한 경험은 아이들과 아이들이 직접 만나는 학교에서 가능한 것이기에, 앞으로 학교와 교사의 존재 이유는 더욱 선명해진다.

"당연하지. 우리처럼 한 해 동안 항상 웃으며 사이좋게 지낸 학급이 또 어디 있어?"

눈이 펑펑 내리던 작년 12월 어느 날 버스 안에서 아이들에게 내가 했던 답이다.

출근길에 종종 중학교 교복을 입고 여전히 웃으며 등교하는 작년 우리 반 아이들과 인사를 나누곤 한다.

나는 여전히 많은 고민의 답을 찾는 젊은 교사이지만, 중학교에 가서도 여전히 사이좋게 지내는 작년 우리 반 아이들을 보면서 한 가지 고민에 대한 답을 찾은 것 같아 한결 마음이 가볍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