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해동건곤 존주대의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해동건곤 존주대의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3-04-26 09:4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0426091102
백남우 회장
대전 동구 가양동 우암사적공원 유물관에 들어서면 '해동건곤 존주대의'라는 글귀가 보인다. 이글은 현종 5년 1664년 5월 단오에 '해동건곤 존주대의(海東乾坤 尊周大義)'라 고 쓴 휘호(揮毫)로 노나라 역사서 춘추에서 인용한 글귀다. 이 휘호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있는데 비단 위에 먹으로 쓴 크기 101.2x50.9㎝ 글이다.

이글은 조선시대 17세기의 강건한 글씨 풍을 주도한 대표 인물 우암 송시열(1607~1689)의 글씨다. '해동(즉 조선)의 하늘과 땅 모두 중국 요순시대(堯舜時代)의 태평성대를 이어받은 이상적 국가 주(周)나라(명나라)의 정신을 존중하는 큰 뜻을 갖는다'는 뜻의 이 여덟 글자는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의 대표적 인물인 성리학자 송시열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동시에 그의 서예에 대한 면모를 볼 수 있는 좋은 자료다. 강한 필획과 흘림 기운이 큰 강건한 필치 및 굵직한 근골을 갖춘 필획을 시원하게 뽑아냈다. 두툼한 필획의 직접적인 영향은 바로 앞 시기에 활동한 서예가 한호(韓濩? 1543-1605)의 대자서로부터의 영향이라 한다.

1689년 사약을 받은 노론 지도자 우암은 유언을 남겼다. '내가 살던 화양동에 명 황제 모실 만동묘(萬東廟)를 만들라.' 명나라가 망하고 1주갑(60년)이 지난 1704년 제자 권상하는 스승 뜻을 실현해 냈다.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내 조선을 살려준 명나라 신종 만력제와 마지막 의종 숭정제를 기리는 사당이었다.

그해 정월 7일 권상하가 만동묘를 세우고 150여 유생들과 첫 제사를 올렸다. 사흘 뒤인 1월 10일 숙종이 느닷없이 어전회의에서 "명나라가 망한 지 올해 3월로 60년이다. 숭정 황제가 나라를 잃으니 울음이 솟구친다. 백성들이 그 은혜를 잊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겠는가?" 그해 3월 19일 밤 12시 30분 숙종은 창덕궁 후원에 임시 제단을 만들고 숭정제 제사를 전격 거행했다. 그날은 숭정제 의종이 자살한 바로 당일이었다. 그해 11월 숙종은 후원 깊숙한 곳에 제단을 만들고 이름을 대보단(大報壇)이라고 정했다. 이듬해 3월 9일 숙종은 대보단에서 임진왜란에 원군을 보낸 만력제 제사를 지냈다.



조종암(朝宗巖)은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에 있는 큰 바위 암벽에 글씨를 새긴 것이다. 숙종 10년(1684) 임진왜란 때 구원병을 보내 준 명나라에 대한 은혜와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당한 굴욕 잊지 말자는 뜻의 글씨를 바위에 새겨 넣은 암각서다. 당시 가평군수였던 이제두와 유생 허격, 백해명이 주도해 조성했다. 글씨는 모두 22자로 정면에 선조의 손자인 낭성군 이우가 쓴 ‘조종암’과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 글씨인 ‘사무사’ 그 아래 조선 선조의 글씨인 ‘만절필동 재조번방’과 조선 효종의 글을 송시열이 옮겨 쓴 ‘일모도원 지통재심’ 순조 4년(1804) 조종암을 세운 이유와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조종암기실비’가 세워져 있다. 이들은 병자호란 이후 오랑캐인 청나라를 멀리하고 사라진 명나라 문화를 이어받았다는 ‘숭명배청’ 사대주의 모화사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재들이다.

광해군은 중국에서 명나라와 청나라가 교체되는 시기에 적절한 외교로 청나라의 침입을 막았다. 병자호란은 갑자기 닥친 전쟁이 아니다. 이 전쟁에 앞서 40여 년 전에는 임진왜란을 겪었고 불과 그 10여 년 전에도 정묘호란을 겪었다. 정묘호란 이후 청나라는 각종 경제적 요구는 물론, 명나라를 치는 데 협조하라며 수시로 조선을 압박했다. 이런 와중에도 인조 정권은 시종일관 국방이나 백성들의 곤궁한 삶을 외면하고 오직 자신들의 권력 확장에만 열을 올렸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은 인조 정권이 주변 상황을 냉철하게 파악하고 좀 더 유연하게 대처했더라면 충분히 막을 수도 있는 전쟁이었다.

그러나 인조 정권은 임진왜란 이후 급변하는 주변 정세에는 눈을 감았다. 일국의 국가수반인 국왕의 시대적 착오가 국가에 어떤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일이었다. 떠오르는 청을 오랑캐라 무시하고 명분에만 치우쳐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 대에 이르러 청에 의해 삼전도의 굴욕을 당했다. 국민은 그런 잘못된 위정자들로 인한 고통을 그대로 감내하게 됐다. 북벌을 추진하던 효종의 죽음 이후 ‘해동건곤 존주대의’라는 명분에 치우쳐 주변 정세와 국민의 안위에 무심했던 위정자들로 인해 일제강점기의 어두운 역사를 다시 반복하게 됐다. 요즘 세상이 하 수상하다. 이럴수록 우리는 이러한 역사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12월부터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2. [현장]3층 높이 쓰레기더미 주택 대청소…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3. [현장취재]한남대 재경동문회 송년의밤
  4. 대전시주민자치회와 제천시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자매결연 업무협약식
  5.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대전.충남 통합으로 세계 도약을"
  1. 한화이글스, 라이언 와이스 재계약 체결
  2. 전국 아파트 값 하락 전환… 충청권 하락 폭 더 커져
  3. 천안시의회 김영한 의원, '천안시 국가유공자 등 우선주차구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 상임위 통과
  4.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5. 더젠병원, 한빛고 야구부에 100만 원 장학금 전달

헤드라인 뉴스


영정그림 속 미소 띤 환이… “같은 슬픔 반복되지 않길”

영정그림 속 미소 띤 환이… “같은 슬픔 반복되지 않길”

"환이야, 많이 아팠지. 네가 떠나는 금요일, 마침 우리를 만나고서 작별했지. 이별이 헛되지 않게 최선을 다해 노력할게. -환이를 사랑하는 선생님들이" 21일 대전 서구 괴곡동 대전시립 추모공원에 작별의 편지를 읽는 낮은 목소리가 말 없는 무덤을 맴돌았다. 시립묘지 안에 정성스럽게 키운 향나무 아래에 방임과 학대 속에 고통을 겪은 '환이(가명)'는 그렇게 안장됐다. 2022년 11월 친모의 학대로 의식을 잃은 채 구조된 환이는 충남대병원 소아 중환자실에서 24개월을 치료에 응했고, 외롭지 않았다. 간호사와 의사 선생님이 24시간 환..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22일 대전에서 열린 환경부의 금강권역 하천유역 수자원관리계획 공청회가 환경단체와 청양 주민들의 강한 반발 속에 개최 2시간 만에 종료됐다. 환경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환경단체와 청양 지천댐을 반대하는 시민들은 공청회 개최 전부터 단상에 가까운 앞좌석에 앉아 '꼼수로 신규댐 건설을 획책하는 졸속 공청회 반대한다' 등의 피켓 시위를 벌였다. 이에 경찰은 경찰력을 투입해 공청회와 토론이 진행될 단상 앞을 지켰다. 서해엽 환경부 수자원개발과장 "정상적인 공청회 진행을 위해 정숙해달라"며 마..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