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비 불균형 완화를 위해 소비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기로 했으나, 추가 혜택 신청자는 1만 명에 그쳤다.
25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앞서 2월 대전사랑상품권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상시 적용하던 할인정책을 폐지하고 소비 취약계층과 소규모 가맹점을 우대하는 선별적 지원을 고려했다. 연 5~6회 특정 시기에만 운영하며 월 30만 원 한도, 3% 캐시백을 지급한다. 소비 불균형 완화를 위해 소비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 등이 연 매출 5억 원 이하 가맹점에서 대전사랑카드를 사용할 경우 7% 캐시백을 추가로 지원한다. 소비 취약계층은 최대 10%까지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가입 신청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대전지역 복지대상자는 대략 20만 명으로 파악됐지만, 대전사랑카드 가입을 희망한 신청자는 1만 명에 불과하다.
소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이지만 소비 취약계층에게도 외면받는 상황에서 당초 지역사랑상품권의 취지를 잘 살릴 수 있겠느냐는 시선도 적지 않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지역 내 소비증가 및 자금의 역외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에서도 영세 소상공인에게 혜택이 갈 수 있도록 가맹점 등록 업체를 제한하고, 역내 자금순환과 소비 진작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지속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사랑상품권은 혜택이 소비 취약계층에게 집중돼 있어 실질적인 소비 증진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사랑상품권이 아닌 복지카드로 전락해버렸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대전지역 한 상인은 "올해 초 혜택이 줄어들자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하는 손님들이 눈에 띄게 줄었다"며 "다시 정책을 도입해 시작한다고는 하지만 한도와 혜택이 줄어들었는데 누가 사용할까 싶다. 추가 혜택을 받는 복지대상자들에게도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걸 보니, 결국 복지도 소비 진작 효과 등도 모두 기대할 순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대전시 관계자는 "복지대상자가 약 20만 명이 있어 처음엔 16만 명 정도가 가입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이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아직 홍보가 덜 됐다고 판단해 동 행정복지센터 등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더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