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지역이 함께 잘사는 나라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지역이 함께 잘사는 나라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 승인 2023-04-25 11:19
  • 신문게재 2023-04-26 19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유재일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정치학자인 필자는 가끔 지인들로부터 질문을 받곤 한다. 세계 경제 규모 10위인 우리나라는 왜 24위인 스웨덴보다 잘 살지 못하고 행복하지 못하느냐? 국민의 선택으로 새롭게 출범한 지 1년도 안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도가 30% 내외로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은 여론조사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 아마 이 같은 질문은 잘 몰라서 던지는 것이 아니라 세상만사나 돌아가는 시국이 답답한 데서 나오는 것이라고 본다.

매년 두 차례에 걸쳐 각종 세계경제지수를 발표하는 '국제통화기금'(IMF, 2023. 4)에 따르면,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1조 7200억 US달러, 인구 5157만명, 1인당 국민소득(GDP per capita) 33,390 US달러고, 스웨덴은 각각 5990억 US달러, 1081만명, 5만 5400 US달러다. 한국과 스웨덴은 인구와 국민소득에서 나타난 격차를 보면, 처음부터 비교 자체가 무리라는 인상이 든다. 굳이 우리나라와 비교될 만한 나라를 든다면, 흔히 강대국가군(群)이라고 불리는 'G20'에 속하는 국가 중 이탈리아를 들 수 있다. 이탈리아는 국내총생산 2조 1700억 US달러, 인구 5894만명, 1인당 국민소득 3만 6810 US달러다. 참고로 세 나라의 행복지수는 스웨덴 7.395점(세계 6위), 이탈리아 6.405점(33위), 한국 5.951점(57위)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전문가들은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등 'G7'시간과 한국시간 간의 격차는 10~20년의 차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이 점에서 우리나라를 직전 정부에서는 글로벌 선도국가로, 현 정부에서는 글로벌 중추국가로 부르는 것은 희망 사항을 넘어선 팝콘과 같은 부풀리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부자국가군이라고 불리는 OECD 38개 국가 중 우리나라는 각종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끝자락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다행스러운 것은 민주주의 지수가 작년 세계 16위에서 24위로 떨어졌지만, 8.03점으로 완전한 민주주의국가군의 점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쨌든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제법 살지만, 행복하지 않는 나라'와 '의식이 높은 국민'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이 같은 여건 속에서 "기대가 높으면 실망이 크다."라는 심리적 기제가 각종 여론조사에 투영되어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는 것은 합리적일 수 있다. 윤대통령에 대한 직무수행평가 여론조사는 한국갤럽에 따르면, '잘하고 있다'(긍정률)가 취임 초 53%를 최고 정점으로 해서 최근 20주 동안 27~37%에 이르고 있으며, '잘못하고 있다'(부정률)가 54~65%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역량과 정부의 의욕을 과잉으로 계산하고 국정 비전과 목표를 추진해 나갈 때, 그 성과는 제시된 목표치에서 미달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의식이 높은 국민들이 대통령에 대한 기대를 접고 정부에 실망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최근 대통령실 홈페이지에 있는 국정과제의 화면을 보면, 국정비전의 슬로건이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로 뜬다. 물론 PDF 다운로드 파일에는 원래의 슬로건인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사는 국민의 나라'로 되어 있다. 아마 국정비전의 목표치를 낮추기 위해 '함께 잘사는' 구절을 뺀 것이 아닌가 상상해 본다. 차제에 충청권 4개 시·도의 홈페이지를 검색한 결과, 원래의 슬로건이 바뀐 경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요한 것은 슬로건이 아니라 성과와 그것에 대한 지역민과의 공유라고 볼 수 있다. 아직 민선 8기가 시작된지 1년이 되지 않아 단체장 직무평가와 관련한 여론조사가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지역민의 조용한 평가는 진작부터 이루어지고 있다고 본다.

이제는 한 나라의 발전이 국가지도자나 중앙정부의 능력과 성과에만 매달리는 시대는 지난 것 같다. 과거 G7도 국제적 분쟁과 국내의 정쟁 속에서 제대로 '퍼포먼스'(performance)를 내지 못할 때, 지역과 지방정부가 경쟁력의 원천으로서, 성장의 견인차로서 역할을 했음이 익히 알려지고 있다. 희망은 새로운 데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 내가 있고 우리가 있는 곳에서 희망이 있는 것이다. 지역의 희망은 모든 주체들이 합심하고 협력할 때, 특히 정치행정 리더들이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때, 싹을 띄우고 꽃을 피우며 결실을 맺을 것이다.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유성 장대B구역 재개발 정비사업 '순항'
  2. 매출의 탑 로쏘㈜, ㈜디앤티 등 17개 기업 시상
  3. 국정 후반기 첫 민생토론회 위해 공주 찾은 윤석열 대통령
  4. 소진공, 2024 하반기 신입직원 31명 임용식
  5.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세종권역 희귀질환전문기관 심포지엄 성료
  1.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시작
  2. 정관장 'GLPro' 출시 한 달 만에 2만세트 판매고
  3. 한밭새마을금고, 'MG희망나눔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 진행
  4. [긴박했던 6시간] 윤 대통령 계엄 선포부터 해제까지
  5. 금성백조, 사랑의 온도탑 제막식서 1억 5000만 원 기탁

헤드라인 뉴스


‘계엄 블랙홀’로 정국 소용돌이… 충청권 현안사업·예산 초비상

‘계엄 블랙홀’로 정국 소용돌이… 충청권 현안사업·예산 초비상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해제 후폭풍이 거세게 몰아치면서 정기국회 등 올 연말 여의도에서 추진 동력 확보가 시급한 충청 현안들에 빨간불이 켜졌다. 또 다시 연기된 2차 공공기관 이전부터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충남 아산경찰병원 건립,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구축, 중부고속도로 확장까지 지역에 즐비한 현안들이 탄핵정국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기 전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과 선제적 대응이 절실하단 지적이다. 3일 오후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4일 새벽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 등 밤사이 정국은 긴박하게 돌아갔..

대전시, 연말에도 기업유치는 계속된다… 7개 사와 1195억원 업무협약
대전시, 연말에도 기업유치는 계속된다… 7개 사와 1195억원 업무협약

대전시는 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1195억 원 규모 투자와 360여 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아이스펙 한순갑 대표 ▲㈜이즈파크 정재운 부사장 ▲코츠테크놀로지㈜ 임시정 이사 ▲태경전자㈜ 안혜리 대표 ▲㈜테라시스 최치영 대표 ▲㈜한밭중공업 최성일 사장 ▲㈜한빛레이저 김정묵 대표가 참석했다. 협약서에는 기업의 이전 및 신설 투자와 함께, 기업의 원활한 투자 진행을 위한 대전시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신규고용 창출 및 지역..

야 6당,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 빠르면 6일 표결
야 6당,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 빠르면 6일 표결

야 6당이 4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빠르면 6일부터 표결에 들어갈 수도 있으며 본회의 의결 시 윤석열 대통령은 즉시 직무가 정지된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은 이날 오후 2시 43분쯤 국회 의안과를 방문해 탄핵소추안을 제출했다. 탄핵소추안 발의에는 국민의힘 의원을 제외한 6당 의원 190명 전원과 무소속 김종민 의원(세종갑)이 참여했다. 탄핵안에는 윤 대통령이 12월 3일 22시 28분 선포한 비상계엄이 계엄에 필요한 어떤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철도노조 파업 예고에 따른 열차 운행조정 안내 철도노조 파업 예고에 따른 열차 운행조정 안내

  • 야 6당,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 빠르면 6일 표결 야 6당,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 빠르면 6일 표결

  • 계엄령 선포부터 해제까지… 충격 속 긴박했던 6시간 계엄령 선포부터 해제까지… 충격 속 긴박했던 6시간

  • `계엄 블랙홀`로 정국 소용돌이…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충청현안 초비상 '계엄 블랙홀'로 정국 소용돌이…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충청현안 초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