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빈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
최근 차세대 미래 먹거리이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바이오 산업이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응용 분야에 따라 레드, 그린, 화이트 바이오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농식품산업 성장을 견인하는 신성장 동력원이자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과 탄소중립 녹색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그린바이오’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해 농업과 전·후방사업 전반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사업이다.
세계 그린바이오 분야 시장규모는 2020년 1조 2207억 달러에서 2027년 1조 9208억 달러로 연평균 6.7%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린바이오 산업 고성장이 예측되는 이유는 인구 고령화, 자원고갈, 기후변화와 식량 위기 등 전 세계가 공동으로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EU 등 선진국에서는 그린바이오 세계시장 선점을 위하여 이미 그린바이오 분야에 혁신 기술, 순환 경제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 관련 정책을 강화해 운영 중이다. 반면 국내 그린바이오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5.4조원 규모로 세계시장의 0.3%로 작은 수준이지만 앞으로 그린바이오 시장의 가능성과 잠재력은 엄청난 속도로 성장할 수 있다.
정부는 2020년 9월에 그린바이오 산업 미래 농업의 신성장 동력 육성 종합대책인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수립하고 올 2월 기존 대책의 추진체계를 강화해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그린바이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기초연구에 머물지 말고 기업과 투자기관이 협력해 기술창업에 집중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 내 그린바이오 분야 벤처창업 시설과 창업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전시는 지역의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 조성사업'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대전시는 부지 1만㎡에 약 231억원을 들여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를 조성할 예정이다. 대덕특구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카이스트, 충남대 등 지역 대학 인재와 편리한 정주 여건이 조성돼 있어 그린바이오 산업 집적화와 벤처기업 생태계 조성에 최상의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올해 3월에 발표한 대전 국가산단에 그린바이오 산업을 추가해 조성할 예정으로,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와 연계한다면 지역을 넘어 우리나라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진국의 경우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달성하면 농업성장이 정체된다. 이 시기에 농업은 본연의 생산기능에서 다원적 기능으로 이동하고 농업정책에도 중요한 변곡점이 오는데, 현재 우리나라가 이 시기에 진입해 있다. 농업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지금 접근방법의 핵심은 그린바이오 산업이다.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 유치로 대전시가 중부권을 아우르는 그린바이오 산업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아야겠다.
/김영빈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