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소식] 스페이스 테미, 강진이·류제비 작가의 2인전

  • 문화
  • 공연/전시

[문화소식] 스페이스 테미, 강진이·류제비 작가의 2인전

5월 5일까지 두 작가의 작품 41점 전시

  • 승인 2023-04-18 09:41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4. 강진이_회전목마_acrylic on canvas_117x91cm. 2023
강진이_회전목마_acrylic on canvas_117x91cm. 2023
국내 미술시장에서 일명 '옐로칩(yellow chip)' 작가들로 불리는 강진이 ·류제비 작가의 2인전 '행복을 주는 그림'이 스페이스 테미(대전 중구 대흥동 326-139)에서 5월 5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총 41점을 선보인다. 강진이 작가의 자수작품 5점, 회화작품 16점과 류제비 작가의 회화 20점을 감상할 수 있다.

강진이 작가는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동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이후 갤러리 R괴 삼정아트스페이스 등에서 16차례 개인전을 개최했다. 다수의 그룹전에도 초대됐고 2016년에는 LG 유플러스 광고에 작품이 출현하기도 했다. 현재 강진이 작가의 작품은 LG 유플러스 상암사옥과 SNAB 성남아트센터 미술은행 그리고 다수 개인 컬렉터가 소장하고 있다.

6. 류제비_푸른 밤_Acrylic, sand on canvas_53x33.3cm. 2022
류제비_푸른 밤_Acrylic, sand on canvas_53x33.3cm. 2022
류제비 작가는 대구에서 출생해 영남대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대구 팔공산 작업실에 작업하고 있는 '대구 토박이작가'다. 팬실베니아의 허브 갤러리(HUB Gallery)와 미시아냐 갤러리(Misciagna Gallery) 그리고 통인 갤러리와 동원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갖은 바 있다.



2007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 화랑미술제에 대구 동원화랑 부스에 출품한 모든 작품을 '솔드아웃(Sold Out)'시켜 주목을 받았다. 2008년 동원화랑에서 개인전을 개최해 전시된 작품 모두를 또다시 '솔드아웃'해 일명 '스타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국내에서 유명세를 타며 미술시장에서 주목받는 작가가 됐다. 류제비 작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도서출판열린책들, 일민미술관, 통인화랑, 동원화랑, 409갤러리, 개인 컬랙터들이 소장하고 있다.

스페이스테미 관계자는 "강진이·류제비 작가의 작품이 아직까지 대전에 선보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번 스페이스 테미의 2인전은 대전 미술애호가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며 "이번 강진이 & 류제비 작가 2인전은 스페이스 테미의 김주태 큐레이터와 갤러리 R의 류병학 객원큐레이터가 공동기획한 전시다. 깊은 관심과 많은 지원을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1. 강진이 류제비 2인전_스페이스 테미. 2023
강진이 류제비 2인전이 진행 중인 스페이스 테미 모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8개 잔여공구 발주 요청… 건설업계 '예의주시'
  2. 완성형 행복도시의 미래 '5~6생활권'...앞으로가 중요
  3. '올해가 마지막' 지역대 글로컬대학30 향해 막판 스퍼트
  4. [사설]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공백 ‘쌈짓돈’인가
  5. [2025 대전서부교육청] 박세권 교육장 "직원들 힘 합쳐야 일선 학교에 효과'"
  1. [사설] 지역 수출기업 '관세전쟁' 파고 대비를
  2. 충남도, 올해 첫 추경으로 소상공인 현물 지원 575억 반영 요구
  3. [2025 대전서부교육청] 인성과 학력, 균형 잡힌 교육으로 미래 준비
  4. 대전교육청 AI디지털교과서 희망 학교대상 도입… 구독료 미정 등 혼란할 듯
  5. [춘하추동]20년 후 우리의 미래는?

헤드라인 뉴스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권 대학들이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인한 재정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서 십 수년 만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등록금을 내야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치솟는 물가상승률에 학비 인상까지 더해져 시름이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 결과 대전대를 제외한 4년제 사립대 모든 곳이 등록금을 인상한다. 이 중 한남대가 5.49%로 인상 폭이 가장 크다. 한남대는 2011년 인문대학, 간호대학 등 특정 단과대학에 한해 등록금을 최대 7.7%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2012년 5% 인하를 시작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 사태가 급증하면서 비수도권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 완화 시행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당은 DSR 한시 완화를 통해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구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173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6997세대로 전월보다 17.3%(2503세대)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