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수 국립창극단 기악부장인 판소리 고수가 자신의 '고법세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조용수 국립창극단 기악부장인 판소리 고수가 자신의 '고법세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판소리 고수, 개인발표회'를 연다. 언제인가.
"'일고 오창'이라는 주제로 13일 오후 7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개최한다. 사회는 이형환 중앙대학교 부총장이 맡는다. 그리고 첫 번째 순서는 박애리의 강산제 심청가 중 '심봉사 눈 뜨는 대목'이다. 두 번째는 안이호의 박봉술바디 적벽가 중 '조자룡 활쏘는 대목'이고, 세 번째는 조주선의 김세종제 춘향가 중 어사출도 대목이다. 네 번째는 김준수의 미산제 수궁가 중 약성가이고, 왕기철의 동편제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으로 마무리한다. 마지막엔 왕기철, 조주선, 박애리, 안이호, 김준수의 남도민요로 끝낼 예정이다. 축하공연도 있다. 조수아(해금), 김차윤(가야금 25현)명인의 '비익련리'라는 곡이다."
▶이번 개인발표회는 특별하다고 들었다.
"수익의 일부는 결손가정을 위해 기부하고 나머지는 씨드머니가 돼, 차세대 국악 인제양성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작은 밀알이지만 큰 씨앗으로 자라서, 공연계 전체로 퍼지길 기대하고 있다. 어려움을 돕는다는 것은 예술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이같은 소식은 주변 지인들에게 알리지 않았다. '관객을 끌어 모으기 위해 이런 이벤트를 한다'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서다. 이같은 내용은 공연 중에 알릴 계획이다."
조용수 국립창극단 기악부장인 판소리 고수가 자신의 '고법세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그렇다. 이번 공연은 고수가 주인공이다. 그동안 고수는 무대에서 늘 조연만 했다. 국악계와 판소리계에서 고수를 너무 가볍게 보는 것 같아 이런 무대를 마련했다. 소리북은 '고법'이다. 소리북에도 법도가 있다는 얘기다. 고법은 복잡하고 격조 높은 예술세계다. 단순하게 북을 두드리는 것이 아니다. 고수는 이젠 하나의 예술인으로 봐야 한다. 소리꾼은 가마타고 가고, 고수는 걸어간다는 얘기는 이젠 옛 말이다. "
▶고수의 역할이 그렇게 중요한가.
"그렇다. 관중들은 소리꾼에 집중한다. 그러나 소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고수의 역할이 크다. 고수는 단순하게 북만 치는 사람이 아니다. '궁' 치고, '딱'만 치는 게 아니다. 고수는 전체의 흐름을 조율해야 한다. 연극의 연출자 역할을 한다. 소리꾼의 소리가 처진다면 힘을 보태줘야 하고, 무대의 분위기도 잡아야 한다. 추임새로 전체 분위기를 조율한다. 서양의 오페라에서 성악가가 노래하면 적개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100명 가까운 연주자들이 연주를 한다. 그러나 우리 소리판은 다르다. 창자가 무대에 서면 고수 1명이 서양 오케스트라 100명 가까운 연주자 역할을 한다. 이런 무대는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다.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북소리로 관중을 웃기고, 때론 울리기도 한다. 이게 고수의 가치다."
▶개인 고법독주회,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하는 것 같다.
"그렇게 알고 있다. 지난해 9월 '일고 오창 시즌 1'을 서울 국립극장 무대에 올렸다. 무대에서 고수가 주인공이 된 것은 지난해 9월 공연이 처음인 것 같다. 13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펼쳐질 고법독주회는 '일고 오창 시즌 2'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일고 오창' 시리즈는 해마다 추진할 생각이다. 특히 이번 고법독주회로 후배들과 고법전공자들에게 자극이 됐으면 한다. 소리북이 판소리의 보조 악기가 아니라, 국악악기 중 하나로 봐 주길 바란다. 그래서 판소리 고수의 정책성과 자부심을 갖길 바란다."
조용수 국립창극단 기악부장인 판소리 고수가 자신의 '고법세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친고모님이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인 조소녀 명창이다. 어릴적 친고모님에게 소리를 배웠다. 소리의 상청(높은 청)이 안 올라가서 북을 잡게 됐다. 친고모님이 첫 스승인 셈이다. 1994년도에 청강(靑江) 고 정철호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鼓法) 보유자에게 고법을 배웠다. 그리고 3년 뒤인 1997년 이수증을 받았다. 고법 계보는 전설적인 명고 한성준-김재선(임방울 수행고수)-정철호-조용수로 이어진다."
▶'조용수 북은 점잖고 고법의 정석이다'라는 평가가 많다.
"고수는 소리꾼을 좀 더 빛나게 하는 직업이다. 판소리 무대는 소리꾼이 주인공이다. 그런데 고수의 북이 화려하다면 소리꾼의 소리는 죽게 된다. 그래서 기본 박을 중요하게 생각하다보니, 이런 얘기가 있는 것 같다. 처음 고수에 입문하게 되면 잔가락(화려한 기교)을 자주 넣는다. 고수 자신에겐 만족할 수 있겠지만 소리꾼들에겐 방해만 할 뿐이다. 고수는 소리를 방해하면 '절대'로 안된다. 원박 위주로 소리를 보조해줘야 한다. 그리고 3~4시간 북을 잡을 때, 절대로 허리를 굽히지 않는다. 허리를 꼿꼿하게 세운다. 허리를 굽히면 궁편(왼손)도 자연스럽게 접힌다. 궁편 손이 접히면 북의 정석이 깨지게 된다. 무대에 오르기 전에 소리꾼의 컨디션도 살핀다. 소리꾼의 컨디션이 좋다면 소리 역시 쉽게 나오고, 음정도 경쾌하다. 고수 역시 소리꾼의 컨디션에 따라 박자를 맞춰 준다. 즉흥적인 판소리 무대라고 얘기하지만, 어찌보면 계산된 무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족 모두가 '국악 가족'이다.
"그렇다. 조소녀 명창뿐만 아니라 형제들이 국악을 전공했다. 사촌 형님 조용안, 조용수, 그리고 사촌 동생 조용복은 고법 전공자다. 판소리 전공자인 조용주도 여동생이다."
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