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학 (사)문양목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 |
지난 1월 27일 국가보훈처 박민식 처장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문양목 선생과 황기환 지사를 지목하며 '국외의 독립유공자 유해도 적극적으로 봉환하여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리겠다'라고 보고 했다.
선생의 유해봉환은 2016년 태안신문이 현지를 방문하면서 물꼬를 텄으나 진척이 부진 하자 전 태안군 부군수이던 이수연 기념사업회 이사가 3차례 미주 현장을 방문해 유족들과 협의를 이뤘다. 그러면서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트 한인회의 협조까지 끌어냈다. 따라서 성일종 의원도 정부 요로에 봉환의 당위성을 설파해 긍정적인 지원을 약속받았으며 태안군과 기념사업회의 절대적인 노력도 함께 결실을 본 것이다.
필자가 특별히 문양목 선생의 독립정신을 발굴하려 한 이유는 선생이 고향 분이며 자손이 국내에 없어 선양사업이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며, 또 하나 그분만의 특별한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선생은 동학농민운동에 실패한 후 사탕수수 노동자로 하와이를 거처 샌프란시스코에 이민했다. 이민 초기 안창호의 공립협회와 함께 미 본토의 대표적 국권 회복단체인 대동보국회 중앙총회장과 기관지 대동공보의 주필 겸 사장을 역임했다. 1908년 3월에는 친일 외교관 스티븐스를 처단한 샌프란시스코 의거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의거 후 재판 전권위원과 재정위원을 맡아 공판을 독립재판으로 이끌었다.
스티븐스 사건을 계기로 막강한 독립단체의 필요를 느낀 선생은 군소 독립단체를 통합하는 주역을 맡아 1910년 대동보국회와 공립협회를 통합해 해외 최대 독립단체인 대한인국민회를 설립했다. 그리고 제2대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장과 기관지 신한민보의 발행인으로 미 본토와 하와이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선생은 60여 편의 애국시와 애국 논설을 발표해 교포의 독립정신을 고취했으며 한글학교를 설립해 2세 교포의 교육에 헌신했다. 특히 박용만의 소년병학교와 대조선 국민군단의 설립을 지원하면서 강력한 독립운동을 펼쳐 미국을 비롯한 서구열강에 한국인의 강인한 독립 의지를 확인시켰다. 또한, 출판인으로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박용만의 군인수지 그리고 국민개병설 등을 발간했다.
당시 북미지역의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대부분 유학생이거나 사업가 등 지식인이었으며 가족과 생활하면서 몇 차례 고국도 방문했다. 그러나 선생은 한인사회의 주요 인물이 되었으면서도 평생 노동자로 독신생활도 빈한한 생활도 면치 못했다. 단 한 차례 모국 방문은 물론 고국에 남은 하나뿐인 여식도 상봉하지 못한 채 오직 조국의 독립이 신앙이었기에 선생의 독립정신이 더욱 위대한 것이다.
선생은 1940년 순국하시면서 캘리포니아 파크뷰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정부에서는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으며 서거 82년만인 올해 8월 15일 봉환을 추진한다.
그동안 문양목 선생 기념사업회를 조직 운영하면서 18차례의 추도식과 2차의 학술세미나를 실시했다. 그리고 생가지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사당을 건립하고 선생의 독립정신을 선양하면서 부단히 노력하였으나 당국과 학계의 무관심과 주민의 참여 의지가 저조해 기념사업이 원활하지 못했다. 아직도 생가지 복원과 기념관 등 현충 시설의 건립과 기반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선생의 독립운동도 제대로 조명되지 못해 선생의 독립정신과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안중근 의사를 생각하면 감전된 듯 전율을 느낀다. 해방 78년이 되었어도 고국으로 모시지 못하는 국민임이 죄스럽다. 더 각별한 노력으로 반듯이 발굴해야 진정한 평화와 완전한 독립이 완성되는 길이라 믿는다.
/최재학 (사)우운 문양목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