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이 선비들은 깊은 학문과 덕행으로 양반의 예절과 충절을 실천하는 전통을 만들어왔습니다. 이러한 충청의 선비정신은 조선 후기의 실학, 한 말의 위정척사 운동 및 의병 활동, 일제 강점기 때의 개화운동과 민족운동으로 이어져 왔으며, 오늘날까지 충청지역의 생활 문화 속에 스며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충절과 의리로 상징되는 충청의 선비정신은 6·25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인구의 대이동이 있었고 국토의 중심이라는 지정학적 특성상 타지역 사람들이 많이 유입된 뒤 좀 퇴색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중도로써 충청권의 역할은 더욱 부각되었고, 인적·물적 교류의 중심이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충청의 정신은 '중용' 또는 '포용과 융합'의 정신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이러한 중용사상은 정신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들어와서 서로 돕고 사는 공동체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엇보다 70년대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덕연구단지'로 말미암아 첨단 과학을 통해 한국의 미래를 여는 지역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성리학도 그렇지만 현대에 와서 첨단 과학의 요람이 된 충청지역(특히 대전)은 외래문화의 수용에 비교적 관대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미지로 인해 흔히 충청도는 색깔이 없다고 평가받습니다. 그런데 분명하게 드러내는 원색보다는 흰색이 지니는 가능성은 더욱 무궁하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될 것입니다. 따라서 충청의 정신은 포용과 조화 그리고 가능성을 상징하는 특징이 정체성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습니다. 충청의 중용 정신이 발아된 것이지요.
우선 이러한 충청인의 중용 정신은 무엇보다 민주주의적 정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상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이방인을 배척하지 않고 포용하는 민주적 가치의 실천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중용의 정신은 위에서 얘기한 더불어 사는 공동체 정신인데, 그동안 충청지역은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형성하였고, 더불어 평화롭게 살아가는 화합의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합의 전통은 앞으로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어우러져 동북아의 중심지로서 도약하려는 충청이 계승·발전해야 할 귀중한 자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다름을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는 공동체 정신은 대전을 비롯한 충청의 미래를 위한 자양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에서 충청의 정신이 형성된 역사적인 맥락을 살펴보았습니다. 요약하면 조선 시대에는 호서사림의 중심지로서 선비정신의 고장이라고 말할 수 있고, 6·25 한국전쟁 이후 외지인들의 유입이 늘어났고 문물교류의 중심이 됨으로써 충청의 정신은 양극단을 지양하는 중용의 정신을 견지해왔습니다. 그 후 대전 엑스포가 치러졌고 세종 행정도시가 건설됨으로써 충청의 정신은 과학과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체성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충청의 정신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중심이 되어 멜팅포트(Melting Pot)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