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다. 13km나 되는 보문산 둘레 길도 친환경적이다. 이른 아침부터 오후 늦게까지 뚜벅이들로 가득하다. 보문산성도 누구나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다듬어져 있다. E-산악자전거로 자연을 탐험하는 이들도 있다. 전기 모터와 배터리의 조합은 녹색 전기인 까닭에 기후 친화적이고 효율적이며 저렴해서 즐기며 사용 가능한 친환경 모바일이다.
보문산성에서 바라본 대전은 분지에 푹 빠진 모습이다. 미세먼지가 빠져나갈 통로는 없어 보인다. 지난 100여 년 동안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는 소외되다시피 했다. 자동차가 거리를 막고 공기를 오염시켰다. 이제 자전거 타는 사람, 보행자, 카페와 대중교통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삶의 질을 극대화한 대전으로 탈바꿈해야 할 시점이다.
그런 변신의 중심에 트램이 있을 수 있다. 무가선 전기 트램은 저렴하고도 깨끗하게 달릴 수 있어서 산업혁명으로 먼지를 뒤집어쓴 유럽의 도시에서 인기 있다. 이 교통수단은 포르투갈의 포르투에서처럼 도심을 편안하고 빠르게 이동시킨다. 뉴욕에서는 1832년에 처음 트램이 운행되었고, 1927년부터는 자동차 산업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노선들이 시들해졌다. 근래에 와서야 그 진가를 알아차린 덕에 일부 도시에서 트램 르네상스를 맞았다.
언제부터인가 시내버스도 디젤에서 친환경 연료로 탈바꿈했다. 미래의 추세는 E-버스다. 전기 모터는 디젤 엔진에 비해 1/3의 에너지만 필요하다. 또한 녹색 전기인 까닭에 운행 시 조용하고 깨끗하다. 프랑스 낭트의 E-버스는 배터리 전원으로 운행한다. 다른 구간에서는 팬터그래프로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조합은 저렴하기도 해서 실용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소유보다 사용을 장려한 대표적인 사례가 공영자전거 '타슈' 제도일 것이다. 필요할 때 탈것을 렌트할 수 있는 공영차량 '타슈'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소유하는 것보다 저렴하고 공간도 많이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베를린 같은 대도시는 공유 모빌리티를 장려하여 교통편의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곳의 렌터카는 모두 전기로 움직인다. 유럽의 경우 점점 더 많은 도시 젊은이들이 차량을 소유가 아니라 렌트하고 있다.
한때 철길 근처는 사람 살 곳이 못된다고 치부하던 시절이 있었다. 디젤 열차 때문이었다. 전기로 바뀐 지금 그곳은 살기 좋은 곳으로 변신했다. 참고로 1863년 빅토리아 여왕 시기에 개통된 런던의 초기 지하철은 말 그대로 지하로 다니는 증기 기관차였다. 당시 이 기관차는 지붕도 없었으니 악명 높은 매연에 시달렸을 승객들을 상상해보라. KTX는 시속 300km 이상으로 달린다. 전기 모터와 낮은 회전 및 공기 저항 덕분에 기차는 비행기보다 30배, 트럭보다 5배, 배보다는 약간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그러니 대전 중심의 메가시티를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은 대부분 기존 철도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기후 친화적인 모빌리티에도 중요하다.
(초)미세먼지의 배출원은 다양하지만, 자동차의 폐해를 무시할 수 없다. 게다가 (초)미세먼지는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대부분 폐포 침투로 각종 치명적 질환을 유발한다. 클린 대전을 위한다면 교통편이성과 도시재생에 특화된 친환경 모빌리티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