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위젤은 자신이 생각하는 평생의 사명은 '교사'라고 했습니다. "무엇보다 나는 가르치는 사람이며, 죽을 때까지 가르치는 일을 계속할 것이다"라고 수시로 얘기했다지요.
위젤은 교육의 힘으로 역사를 바꿀 수 있다는 확신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그는 오랫동안 보스턴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당시 그의 제자이며 조교였던 아이엘 버거는 위젤 교수의 강의와 학생들과의 토론을 모아 그의 사후 책으로 펴냈습니다. 이 책은 고통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초월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내용이지요. 그중에서 오늘은 위젤이 주장하는 '말과 글의 한계'에 대해서만 좁혀서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어느 날 위젤 교수는 강의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예고도 없이 노래를 불러주었습니다. 위젤 교수는 굵지만 섬세한 목소리를 내는 바리톤에 가까운 음색이었고, 눈을 감고 박자에 따라 몸을 흔들기도 했지요. 그의 양손은 마치 합창단을 지휘하듯 부드럽게 위아래로 움직였습니다. 조교인 아이엘 버거는 왜 강의 시간에 갑자기 노래를 부르셨나 궁금하게 생각해서 강의가 끝나자 위젤 교수를 찾아가 "오늘 노래는 참 아름답고 감동적이었습니다만, 오늘이 무슨 특별한 날인가요?"라고 물어봤지요.
위젤 교수는 차분한 표정으로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말과 글을 넘어선 무언가에 감동할 필요가 있습니다. 잘 알겠지만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정보를 서로 나누는 것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른 무언가가 더 추가되어야 하지요. 서로 토론도 하고 이야기도 나누지요. 그렇지만 무언가 하나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가락이나 곡조가 빠진 것 같아서 노래를 부르기로 결심했지요."
그런데 놀라운 것은 강의실에서 위젤 교수가 노래를 부른 순간부터, 닫혀있던 문이 열린 것 같이, 강의 시간에 토론이 더 활기가 넘쳤고 학생들은 더 자주 손을 들고 얘기를 많이 했으며, 진지한 질문도 오갔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제가 개인적으로 해석하기에는 감정에 섞여 몸짓까지 해가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을 보면서 평소 근엄했던 교수와 다른 인간적인 모습에 친근감을 느꼈고 그것이 강의 분위기에 영향을 줬지 않았을까요? 아니면 무거운 강의 속에 뭔가 답답함을 느꼈는데, 노래를 통해 다소 해소되어 새로운 호기심으로 이동해서일까요?
위젤 교수는 프랑스 소설가 플로베르라는 작가의 "오전 내내 고심하다 마침내 쉼표 하나를 찍고 있다. 그리고 오후 내내 고심하다 그 쉼표를 지웠다"라는 말을 인용하면서, 이와 똑같이 자신도 900쪽 분량의 원고를 썼는데, 자신도 원고를 다시 줄이고 다듬는 작업을 하면서 "그렇게 깎아내고 지워버린 말과 단어는 그 자리에 남게 됩니다"라고 다소 아리송한 말을 했습니다.
단어를 지워버렸는데 어떻게 그 자리에 남는다는 말인가요? 이런 의문에 대해 위젤 교수는 "마치 죽은 사람들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그렇지만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의도나 목적이 필요합니다."
이제야 우리는 위젤 교수의 의도를 이해할 것 같습니다. 말과 글을 넘어서는 무언가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기 위해서는 '침묵'이 꼭 필요한 것입니다. 언어란 기본적으로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이상의 의미가 있지요. 단어와 단어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빈 곳도 어쩌면 언어의 일종이 아닐까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