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곤(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
한복(韓服)은 다섯 가지 색, 즉 '오방색(빨강, 파랑, 노랑, 검정, 흰색)'이 조화를 이루는 우리나라 전통의상이다. 궁중에서는 임금과 신하의 옷 색깔을 달리하여 신분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사대부와 중인·서민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에 적용됐다.
필자는 그동안 많은 나라의 세계민속축제 현장을 다니며 그들의 전통문화를 경험했다. 한국 공연단이 등장했을 때 축제에 참가한 각 나라 사람들이 기념촬영을 제안하곤 하는데, 한복이 품은 색감과 디자인에서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실감하며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꼈다.
요즘 연한 색감의 한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우리 민족 전통 의상이 아름답고 품격 있게 진화하고 있다. 안타까운 점은 한동안 '생활한복'이 일상복 문화에 한 축을 이루며 보편화하는 듯했으나, 시대가 변화하면서 보기 힘든 '옛날 옷' 이미지로만 기억돼 아쉬움이 크다.
우리나라 전통 요리를 아우르는 '한식(韓食)'도 살펴보자. 한식진흥법(한식진흥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 온 식재료 또는 그와 유사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한국 고유의 조리법이나 그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해 만든 음식, 그 음식과 관련한 유·무형의 자원·활동 및 음식문화를 일컫는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데다, 내륙으로는 큰 산맥과 그 사이를 흐르는 강이 있다. 이로 인해 바다에서 나오는 풍부한 수자원과 계절에 따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산나물, 그리고 강에서 얻어지는 민물고기 등 다양한 식재료를 통해 음식문화가 융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식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은 궁궐과 양반가, 그리고 사찰과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과 부류에 스며들었으며, 현대로 접어들면서 영역이 파괴된 융복합형 음식으로 발전하며 조화와 질서를 이룰 수 있었다.
한국의 밥상을 들여다보면, 밥, 국, 김치, 장류를 기본으로 추가되는 찬 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으로 나눈다. 3첩은 서민 밥상, 5첩은 중산층, 7첩과 9첩은 양반 밥상으로, 9첩은 대갓집에서 먹는 밥상으로 구분했다.
생활문화의 3대 요소인 '의'와 '식'을 살펴봤다면, 마지막으로 한옥(韓屋)에 대해서도 짚어보자. 우리나라는 남향에 동쪽에 문이 있는 집을 '좋은 집'으로 구분한다. 좋은 집 앞에는 물이 흐르고, 뒤에는 산이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를 명당이라 했다.
한옥은 소박하면서도 힘이 있고 단아하면서도 아름다운 수직과 수평선이 조화를 이뤘다. 처마선은 긴장한 듯 보이지만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전통미를 살렸으며, 절제된 곡선은 '음(땅)과 양(하늘)'에서 비롯되는 동양사상을 품었다. 색감 또한 나무색과 기와의 짙은 회색이 조화를 이루며 자연스러움을 살렸고, 지붕에서부터 직선으로 흐르다가 처마선이 곡선으로 살짝 들어올려지며 한국 특유의 곡선미를 강조했다.
처마선은 보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활용성과 실용성 면에서도 우수했다. 여름에는 처마를 앞으로 길게 하며 높이 뜨는 태양 빛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낮게 뜨는 햇볕을 집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선인들의 지혜를 담아냈다.
한옥의 공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이 '마당'이다. 마당은 한옥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마당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전통문화를 간직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이들의 놀이터로, 추구한 곡식을 널어놓는 부엌의 연장 공간으로 쓰였다. 또 명절이면 마당에서 풍물굿판이 펼쳐져 '마당문화'의 산실 역할도 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이 가진 의식주 문화는 유네스코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 삶 속에 녹아 있는 의식주 문화를 세계인들이 주목하고 있다. 우리의 훌륭한 생활문화 자원을 잘 지키고 세계화하는 데 관심과 정성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김병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