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철 교수 |
리더십이란 조직체를 이끌어나가는 지도자의 역량과 단체의 지도자로서 그 단체가 지니고 있는 힘을 맘껏 발휘하고 구성원의 화합과 단결을 이끌어낼 수 있는 지도자의 자질을 말한다. 피들러의 상황 리더십 이론에 따르면 관계지향적 리더와 과업지향적 리더로 나뉜다. 관계지향적 리더는 과업의 진행보다 부하 직원과의 관계를 더 중요시하며, 반대로 과업지향적 리더는 부하 직원 중 일부가 불만족하더라도 과업목표 달성을 우선적으로 밀고 나가는 리더를 말한다.
관계지향적 리더와 과업지향적 리더를 구분하는 척도는 부하 직원의 성숙도 단계다. 대체로 리더가 본인 의견에 반대하는 부하 직원들을 무시하고 과업에만 몰두하면 과업지향적 리더로 분류되고 반대로 부하 직원을 설득하면서 팀워크를 중요시하는 관계지향적 리더로 분류된다. 이렇듯 필자가 보기에 이장우 대전시장은 관계지향적 리더보다 과업지향적 리더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온통대전 축소,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주민참여예산제 등 전임 시장의 정책을 폐지 또는 축소를 과감하게 밀어붙이는 리더십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행정의 기능은 안정화 기능도 중요하지만 옳지 못한 정책이 있다면 사회변동 기능에 따라 정책을 실현할 수도 있다. 다만,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행정은 밀어붙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다양한 환경과 구성원들의 불만도 아우르고 소수의 목소리도 담아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관계지향적 리더십을 지향하다 보면 구성원들의 설득 문제로 시간을 낭비하고 결정이 지연되는 문제도 있지만 구성원들이 불만족하는 정책을 독단으로 결정하여 밀어붙이는 과업지향적 리더십으로 조직을 운영하다 보면 정책을 만들고 집행하는 공직사회는 그대로 얼어붙고 말 것이다.
공직사회가 느슨해져서 일을 안 해도 문제이지만 너무 얼어붙어 권력의 향방과 리더의 눈치를 살피는 상황은 더 큰일이다. 말 그대로 공직사회의 대표적인 문제점인 복지부동(伏地不動)보다 더 무서운 것은 복지부동을 뛰어넘어 낙지처럼 땅에 찰싹 붙어 움직이지 않은 ‘낙지부동’인 것이다. 이제는 이장우 대전 시정도 출범한 지 꽤 시간이 흘렀다. 그래서 상황적 리더십 이론을 대전시에 적용해 본다면 리더가 상관으로 임명받은 처음에는 과업내용을 구체적으로 부하 직원에게 알려주는 지시형 리더가 효과적이다. 하지만 점차 부하 직원과의 성숙도 단계가 증가하면 과업 내용을 지시하면서 자세한 설명과 함께 부하 직원을 설득하는 코치형 리더가 더 효과적이다. 또한, 리더와 부하 직원 간 성숙도 단계가 최고조로 형성된 후에는 의사결정 과정에 부하 직원들을 참여시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참여형 리더가 높은 평가를 받는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필자의 바람은 리더인 이장우 시장과 구성원인 대전시 공무원과의 관계가 친밀함을 넘어 리더의 눈빛과 표정만 봐도 서로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면 이장우 시장은 마음 놓고 국회와 정부부처를 찾아다니며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상당 부분의 일은 대전시 공무원에게 맡기는 '위임형 리더'가 되기를 기대한다.
/권오철 중부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