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 뉴스에서 아무리 떠들어도 '설마 그렇게나 많이 나오겠어?' 생각하고 신경도 쓰지 않았다. 그러나 그 생각이 큰 오산이었음은 관리비 청구서를 받은 후 깨닫게 되었다.
겨울철 관리비 청구서의 앞자리 숫자는 늘 3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1월에 받은 고지서는 숫자 5로 시작했다. 50만원이 넘은 것이다. 눈을 휘둥그레 뜨고 내역을 꼼꼼히 살펴봤다. 다른 것은 전 달 대비 변화치가 미비한데 정확히 난방비만 100% 인상된 금액이 적혀 있었다. 오래된 아파트에 중앙난방이라 어쩔 수 없다지만 30만 원대 관리비를 내다 50만 원대를 내려고 하니 급 현타가 왔다.
2월에 청구될 관리비도 두려웠다. 개별적으로 난방 조절을 할 수가 없으니 날씨가 춥지 않기만을 바라며 한 달을 지냈던 것 같다. 예정된 날짜에 관리비 청구서는 날아 왔고 두근거리는 맘을 진정시키며 금액을 확인했다. 다행히 전 달 대비 난방비는 오르지 않았고 대신 전기료가 약 7000원 정도 증가한 걸로 고지됐다. 사람이 간사하다는 게 똑같이 50만원대의 관리비를 내는데 생각보다 더 많이 안 나왔다고 이를 좋아하고 있으니 말이다. 빨리 따듯한 봄이 오길 기대했다.
그러나 앞으로 문제는 다가올 냉방비 폭탄에 있다. 지난해 오른 전기료가 냉방비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올 여름 또 한 번의 폭탄이 닥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기요금은 지난 1월 기준 전년 대비 이미 30%나 올랐는데 추가 인상이 유력한 상황이다. 산업부 장관도 한국전력의 지난해 연간 영업 손실액이 30조를 넘고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도 8조 6000억 원을 기록하는 등 전기와 가스요금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서민들에게 안 좋은 뉴스는 또 있다. 냉난방비 폭탄에 이어 서민들의 술이자 애환을 달래주는 소주 가격 인상소식이 나온 것이다. '1병 6000원 시대'까지 예고되며 국민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고 정부는 부랴부랴 주류업계 실태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제조한다. 10개 주정 회사가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에서 독점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값을 7.8% 올렸다. 또 제병 업체의 소주병 공급가격은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 넘게 상승하며 주류업계가 소줏값을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가 행동에 나선 것이다.
퇴근 후 삼겹살에 가볍게 소주와 맥주를 곁들이거나 치킨에 맥주를 마시는 게 부담스러운 상황까지 놓이게 된 것이다.
대학 시절 학교 앞 한 주점이 소주를 1000원에, 안주는 3000원에 판매했다. 지금의 소주 한 병 값인 5000원만 있으면 소주 2병에 김치찌개를 시켜서 먹을 수 있었던 곳이었다. 용돈이 궁하던 시절 그 주점은 금방 학생들에게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물가가 지금처럼 비싸지 않았고 학교 앞이라서 그런 게 아니냐는 반문도 할 수 있겠지만 당시 학교 앞에서도 그 가격으로 판매를 하는 곳은 없었다.
더욱 안 좋은 뉴스는 전년도부터 이어진 소비자물가의 상승세가 좀처럼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되는가 하면 2023년 한국경제도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7%에서 1.6%로 낮췄다. 우리나라 성장률이 2%대 아래로 내려가게 된 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등 대형위기가 있던 해이다. 예상치대로 성장률을 나타낸다면 앞서 나열했던 해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서 잡은 이유는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온 수출이 둔화되고 있는 데다 고금리, 고물가가 이어지며 소비 회복세도 약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암울한 소식만 들릴 뿐이다.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현실..서민들에게 따듯한 봄은 과연 언제쯤 올까? 이성희 뉴스디지털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