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복섭 교수 |
하긴 어느 시댄들 조용한 날이 있었겠는가? 조선시대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고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하며 패를 지어 싸우다가 급기야는 서로를 죽이는 참극으로 이어졌다. 해방 후에도 좌와 우로 나뉘어 대립하다가 결국 동족상잔의 비극과 함께 남과 북으로 갈리는 역사를 만들었다.
현대사는 어떤가? '사회의 모든 부패와 구악을 일소하고 퇴폐한 국민 도의와 민족정기를 바로잡기 위해' 군인들이 5·16쿠데타를 일으켰고, 다시 시간이 흘러 독재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겠다’며 10·26을 감행했다. 무도한 반란세력을 척결하겠다고 12·12군사반란을 일으킨 세력은 곧이어 '일부 정치인, 학생 및 근로자들이 사회를 혼란과 무질서, 선동과 파괴가 난무하는 무법지대로 만들고 있다'며 5·17 내란을 일으켰다. 주장만을 따르자면 모두 이유 있는 행동이었지만 역사는 그렇게 평가하지 않고 이면(裏面)을 파헤친다.
역사를 바꾼 영웅으로 꼽히는 율리우스 시저를 살펴보자. 루비콘강을 건너 로마의 실질적 지배자가 된 시저는 무기력하고 혼란만 일삼는 원로원을 제치고 시민들의 인기를 힘입어 10년의 기간을 정해 스스로 ‘독재관’(獨裁官)에 취임했다. 현재 달력의 근간이 되는 역법 개정을 비롯해 인프라 확충과 이자율 제한, 시민복지 향상 등 시민의 편에서 각종 개혁과제를 일사불란하게 추진했다. 기득권을 지키려는 원로원에 대항해 개혁과제를 추진하기 위해선 일정 정도 독재가 필요하다는 논리였고, 이를 시민이 인정해준 것이다.
그런데 클레오파트라가 시저와의 사이에서 난 아들 케사리온을 데리고 로마에 나타나면서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친아들이 없었던 시저가 후계자를 외조카뻘 옥타비아누스로 정해둔 상태이긴 했지만 새로 생긴 아들에게 제위를 물려줄 욕심이 생겼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인의 아들로 시저로부터 각별한 사랑을 받았던 브루투스도 케사리온의 등장과 함께 위기의식을 느꼈을 것이라 호사가들은 얘기한다. 결국, 독재자를 타도하고 공화정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원로원 의원들이 시저를 죽이는 과정에서 브루투스가 깊이 관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암살 직후 원로원 의원들이 광장으로 나가 "로마 사람들이여, 우리는 다시 자유로워졌다!"라고 외쳤지만, 시민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가담한 의원들이 제거됨과 동시에 거사의 명분이 된 로마 공화정이 망하고 황제가 통치하는 제정으로 바뀌는 계기가 됐다.
여기서 의문을 가져봄 직하다. 원로원 의원들은 시민의 대의기관이 국가를 운영하는 공화정체제를 지키기 위해 독재자를 타도한다는 정의로운 의도만 있었을까? 시저는 당면한 개혁과제를 모두 완성하고 10년 뒤 독재관의 자리에서 깨끗이 물러났을까? 철학자이자 선정을 베푼 현제(賢帝)로 추앙받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도 유능한 인물을 양자로 입양해 제위를 물려주던 로마의 전통을 버리고 친아들 코모두스가 승계해 로마제국 사상 최악의 황제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선거가 가까울수록 진보와 보수는 또다시 치열하게 격돌한다. 각자가 하는 주장들을 들어보면 모두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 이면은 말을 하지 않아도 다 보인다. 최근 지역에서 국립대 통합 논란이 뜨겁다. '두 대학이 합쳐지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명분보다는, 대학이 큰 변혁을 요구받는 시기에 어려운 혁신 과제를 수행하기보다는, 거대조직이 주는 안전함에 기대어 좀 더 편한 생존의 길을 택하겠다는 이면은 없을까?
/송복섭 한밭대 건축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