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1일 열린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 출범식의 모습. [출처=대전시] |
우주·항공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나노·반도체, 바이오 분야와 같은 핵심 산업을 육성해 신규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 그리고 지역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는 목적에서다. 산업별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경제 유발효과와 지역 간 상생발전도 기대돼 향후 추진 상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충청권은 첨단산업 육성에 여념이 없다. 앞으로 첨단산업이 지역의 미래 경쟁력과 직결한다는 판단 아래 산업기반을 조성 중이다. 첨단산업 육성은 윤석열 정부 정책 기조이기도 하다. 지역별 첨단산업 거점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이끌겠단 계획이다. 이미 국토교통부가 충청권에 특화한 산업 육성과 혁신성장 기반 조성을 과제로 제시했고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혁신클러스터 계획도 특화산업 육성과 신(新)산업 생태계 구축과 연결돼 있다.
대전은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에 이어 우주산업에도 뛰어들었다. 대전시는 2월 15일부터 우주산업 혁신 기반 조성사업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앞서 민선 8기 대전시는 우주·항공 분야를 4대 주력산업으로 정하고 세부 계획을 준비해왔다. 이번 계획은 2022년 12월 지정된 우주산업 클러스터와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대전은 우주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서 전남(발사체), 경남(위성)과 함께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한 축을 담당한다.
우선 올해 20억을 투입해 우주산업 육성 기반을 닦는다. 지역에 위치한 69개 우주산업 관련 기업에 특허와 인증, 기술이전, 시제품 제작, 국내외 마케팅을 지원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에 나선다. 기존 협의체인 '뉴스페이스발전협의회'를 확대해 산·학·연·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대전만의 신규 특화사업도 발굴한다. 일단 지역 우주산업을 자생력을 갖춘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단 목표다.
충남도 첨단산업 기반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 충남도는 앞선 2월 14일 충남 경제자유구역 지정 관련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경제자유구역은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베이밸리 메가시티'와 밀접하게 맞닿아있다. 베이밸리는 아산만 일대를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이 수소경제,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이 집적한 경제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경제자유구역은 베이밸리 실현을 위한 기폭제라 할 수 있다. 외국인 투자기업에 각종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이 가능해지는 만큼 기존 산업체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다. 현재 삼성반도체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현대제철과 현대모비스 등이 충남 서북부 산업벨트를 조성하고 있다. 충남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함께 국내외 기업 유치와 지원을 담당할 경제자유구역청도 개청할 예정이다.
충북은 대기업 중심의 첨단 우수기업 투자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충북도는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확고한 우위 선점과 신(新)성장산업 분야 기업 유치를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동시 지정을 노리는 중이다. 주력산업인 반도체, 이차전지 두 분야 모두 도전해 산업기반을 더욱 다지겠다는 목표다.
대전시 관계자는 "앞으로 첨단전략산업에 지역의 미래가 달린 것과 마찬가지"라며 "단순 특정 분야만이 아닌 연계 산업과 함께 발전할 방향을 찾고 면밀하게 중장기 계획을 준비해야만 앞으로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만큼 첨단산업 육성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송익준·내포=김성현·청주=정태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