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당신의 밥상은 안녕한가요?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당신의 밥상은 안녕한가요?

  • 승인 2023-02-15 08:4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a12210516
게티이미지 제공
겨울이 오면 으레 동네 골목엔 붕어빵 장수가 있다. 고소한 냄새를 풍겨 그냥 지나칠 수 없게 만들던 붕어빵. 단돈 천원에 4~5개로 이것만 먹어도 뱃속이 든든했다. 며칠 전 동네 마트 뒤 후미진 골목에 붕어빵 장수가 있는 걸 발견했다. 반가운 마음에 달려가 붕어빵 천원어치 달라고 하니 딱 두 마리였다. 아주머니는 "작년엔 세 개였는데 올핸 두 개여. 값이 오르니까 사먹는 사람이 팍 줄었어요"라며 이 장사도 못해 먹겠다고 한숨을 쉬었다. 붕어빵 기계 측면에 붙은 '붕어빵 장사 하실 분'이라고 쓰인 종이가 바람에 나풀거렸다. 서민의 간식 붕어빵. 붕어빵을 베어먹으면 바삭한 지느러미와 부드러운 몸통이 입 안 가득 차면서 뜨거운 팥 앙금으로 입천장을 데기 일쑤다. 이젠 그 붕어빵도 귀하신 몸이 됐다.

고물가 시대다. 전기, 가스, 대중교통 요금 등 모든 물가가 줄줄이 인상됐다. 1년 새 폭등한 난방비 청구서가 뉴스에 나오는 촌극도 벌어졌다. 현재 소비자물가지수가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라고 한다. 코로나 19로 서민들은 하루하루 버티며 살아왔다. 거기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안한 세계 정세로 물가까지 치솟아 서민의 고통은 끝모를 줄 모른다. 10년 전엔 과자 한 아름을 사도 5천원이 안됐다. 이제 천원 김밥은 옛말이고 분식집 라면도 5천원이다. 마트에 가면 물가 상승 체감도를 실감한다. 지난 주말 대기업 슈퍼마켓에 갔다가 얇게 자른 생연어 160g 짜리를 집었다 도로 놓았다. 9990원이었다. 훈제 오리도 한 팩에 1만6900원. 재작년엔 6900원이었는데. 한우 국거리는 1만4900원. 나 혼자 한끼 먹을 분량이다. 내 월급으론 선뜻 사기 힘든 가격이다.

박봉의 월급쟁이인지라 절약이 몸에 뱄다. 조금이라도 싼 값에 사려면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 동네 마트와 재래시장, 회사 근처 마트가 대상이다. 우리 동네엔 마트가 두 곳이 있는데 거기선 주로 과일을 산다. 신선도가 약간 떨어지거나 못난이 과일을 파격가로 팔기 때문이다. 지난해 가을엔 대봉시 한 상자에 2만원 하는 걸 9900원에 사서 알차게 먹었다. 나중엔 6900원에 팔아 웬 떡이냐 싶었다. 갈색 점이 생긴 바나나도 쏠쏠하고 귤도 득템하는 경우가 많다. 금요장터는 농수산물이 제격이다. 시골에서 직접 가꾼 농산물을 가져와 팔기 때문에 싱싱하고 덤도 많이 준다. 배는 서대산 아래 과수원 할아버지, 여름철 참외는 경상도 아저씨, 나물이나 청국장은 금산 진산에서 오는 아주머니, 생선은 씩씩하고 싹싹한 열혈청년…. 아침마다 수제 요거트를 먹어서 우유도 자주 산다. 유통기한이 얼마 안 남은 우유를 30~40% 할인하는 곳이 있다. 치즈도 마찬가지. 나의 짠내 나는 소비는 올해도 계속될 것 같다.

국민일보는 지지난해 가을 '빈자의 식탁-한국의 저소득층은 무엇을 먹고 사나'라는 기획 시리즈를 보도했다. 이 기사는 저소득층의 밥상을 생생히 보여줬다. 지난해엔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이란 책으로도 나왔다. 일주일 동안 거의 라면만 먹거나 하루 두 끼 혹은 한끼만 먹는 사람들. 과일을 몇 년 동안 먹어보지 못한 여성. 물에 설탕만 넣은 국수를 먹는 중년의 사내. 먹고 싶은 걸 먹지 못하고 참아야 하는 빈곤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은 괴로웠다. TV 먹방 프로그램에선 출연자들이 돼지갈비나 솥뚜껑만한 스테이크를 야수처럼 먹어치우고 먹고 난 초밥 접시는 산더미다. 한 쪽에선 배터지게 먹고 한쪽에선 굶주린 배를 부여잡고. '빈자의 식탁'에 나왔던 사람들은 지금 어떻게 먹고 살까. 라면 값도 올랐는데. 나아졌으면 다행이지만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한번 무너지면 일어서기 힘든 세상이다. 약자에게 냉혹한 윤석열 정부에선 더더욱.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