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졸업식에 대한 단상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졸업식에 대한 단상

김정태 배재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 승인 2023-02-13 08:48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김정태 배재대 영어과 교수(시사오디세이)
김정태 교수
2월은 대학교 졸업 시즌이다. 교수로서 나는 졸업식에 참석을 할까 말까 고민이 된다. 졸업식에서 학과 학생들을 격려하는 시간에 누가 왔을까 기대하면서 식장에 들어서면 한두 명만 앉아 있어 민망했던 기억 때문이다. 물론 대학원생들의 경우는 예외다. 이럴 때면 내 머릿속에는 미국에서 내가 겪었던 졸업식 장면들이 선명하게 지나간다.

서른이 넘어 미국의 한 대학교에서 유학했던 나는 일곱 번의 졸업식을 경험했다. 두 번은 내 자신의 졸업식이었고 다른 다섯 번은 선후배들의 졸업을 축하하러 간 자리였다. 매번 느꼈던 것이지만 미국 대학교 졸업식은 학부 졸업생조차 부모님들과 함께 자랑스러움을 주체 못하며 기쁨을 표출하는 축제의 자리였다.

미국 대학교 졸업식은 성대하게 치러진다. 대학원생들은 미리 옆 건물에서 대기하면서 먼저 학부생들이 식장으로 들어가 착석하기를 기다렸다. 그리고 우리가 차례로 식장으로 행진을 시작했다. "빠암~ 빠바밤 빠암빰~!" 경쾌하게 울리는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 1번’의 연주를 들으면서 석사 졸업생들이 식장의 입구에 두 줄로 섰고 박사 졸업생들이 그 앞에 두 줄로 도열했다.

마지막으로 형형색색의 멋진 가운을 입은 교수들이 석박사 졸업생들 사이를 위풍당당하게 걸어 들어왔다. 마지막으로 교기와 더불어 총장, 또는 학장이 입장하면 그 뒤를 따라서 박사들이 따라가고 그 뒤를 석사들이 들어갔다. 미국 대학교의 졸업식은 자유로움 속에서 엄정한 질서가 있었다. 특히 학생들이 졸업식에 임하는 진중한 태도에서 교수님들에 대한 예의 표시가 눈에 두드러졌다. 그때마다 내 가슴 속에는 뜨거운 것이 뭉클하게 올라왔다.



미국의 대학교 졸업식에서 나는 학생들의 자부심을 보았다. 그것은 공부하기 어렵기로 유명한 미국 대학 교육과정과 평가시스템을 모두 견뎌내고 새로운 시작(졸업식의 영어표현은 'The Commencement'이고 '시작'이라는 의미임)을 하는 자기 자신에게 보내는 찬사였다. 그리고 이 자리에 설 수 있도록 자신을 가르치고 이끌어준 스승에 대한 제자의 존경심이 드러났다. 제자들은 진심을 담아 스승님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렸다. 자부심과 존경심이 감사로 드러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아닐 수 없었다. 그리고 미국은 자유분방한 나라이고 형식을 별로 중요시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나의 고정관념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감동적인 졸업식 모습을 볼 수 없을까?" 이 질문을 계기로 다시 한번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예전에는 군사부일체라는 말을 많이 했다. 이는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는 하나다'라는 의미다. 그 권위가 동일한 것이 아니라 그 은혜가 동일하다는 뜻일 것이다. 또한, 예전에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라는 격언이 있었다. 그 정도로 스승을 존경하고 존중한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어느새 이런 말들을 하게 되면 꼰대가 되거나 옛 추억팔이나 한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교권의 추락과 더불어 가르침을 주신 스승에 대한 감사와 존경이 사라졌다. 교사와 교수는 지식 전달자가 되어 버린 것이 씁쓸한 현실이다. 심지어 인공지능의 발달로 교사와 교수라는 직업은 사라질 직업목록 상위권에 올라갈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에 식은땀이 난다.

그렇지만 그 누가 인공지능 스승에게 감사와 존경을 드리겠는가? 우리는 인간이다. 학교에서 지식만 배운 것 같지만, 선생님에게 배운 것은 지식과 더불어 그분의 인격과 감사와 존경의 마음가짐과 태도였다. 그리고 사회의 규범과 예의범절을 배웠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한다면 인공지능이 인간 교사나 교수보다 훨씬 낫다.

이제 졸업식이 다가온다. 졸업생과 학부모님께 올해는 졸업식장에 들어가 보길 권한다. 대학교의 수준 높은 교육과정과 평가 시스템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도록 애쓰고 힘쓴 나 자신, 또는 내 자녀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칭찬해주자. 그리고 나를 가르쳐주고 올바른 길로 인도해 주셨던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해보면 어떨까? 내가 스승님께 보낸 감사의 말과 태도는 도로 제자인 내게 돌아와 나의 마음을 훈훈하게 덥혀 줄 것이다.

/김정태 배재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