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1 제1차 MARS 월드포럼이 열려 관계자들이 '모빌리티, 로봇이 AI를 만나는 미래 세상'을 주제로 드론테인먼트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UAM이 향후 교통체계 전반에 변화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고부가가치 신사업으로 성장할 수 있어서다. 정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에 따라 충청권 지자체가 종합계획을 준비하는 가운데 30분 이내 충청지역 곳곳을 잇는 하늘길이 열릴지 관심을 끈다.
UAM은 수직이착륙 기술을 이용해 도시 권역을 이동하는 3차원 교통수단이다. 대도시 인구 집중과 지상 교통망 혼잡이 심해지면서 UAM 필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초기 단계다 보니 시장 규모나 사업 전망은 엇갈리지만, 2030년 이후 본격적인 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란 의견이 상당수다. 때문에 우리 정부는 물론 세계 각국에서도 구체적인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UAM은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에 포함됐다. 2025년 상용화를 위한 기반 마련과 관련 제조업 육성이 목표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을 마련한 데 이어 올해부터 실증사업(그랜드챌린지)을 추진한다. 실증·시범지역에 규제 특례 적용을 검토하고 특화 스마트시티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관련 절차도 준비 중이다.
국내외 움직임에 발맞춰 충청권 지방정부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대전은 이장우 시장이 연일 UAM을 강조하고 있다. 이장우 시장은 연초 미국 출장길에서 UAM 최신기술을 접한 뒤 대전시 차원의 대응 방안을 지시했다. 2월 7일 확대간부회의에선 "대전시가 (UAM을) 간과하고 있다"며 "발 빠르게 대비책을 마련해 과학기술도시로서 먼저 앞서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0년 12월 2일 대전 서구 괴곡동 고리마을 인근에서 갑작스런 폭설로 차량의 연쇄추돌사고 및 고립 상황을 가상한 훈련이 펼쳐져 드론이 사고현장을 파악하고 있다. 이번 훈련에는 5G 드론시스템 기술이 전국 최초로 활용됐다. [사진=이성희 기자] |
충남도는 UAM 상용화를 대비한 구축 방안을 모색 중이다. 충남형 UAM 실증·상용화 기반 구축 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광역교통 체계와 연계한 실증 상용화 전략, 지역별 산업 특색에 맞춘 산업 육성 계획, 도내 지역별 교통 연계 방안 등을 분석한다. 15개 시·군으로부터 UAM과 관련한 아이디어도 받는다.
충북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2022 도심항공교통(UAM) 포럼을 열어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항공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충북도는 드론·도심항공교통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민·관·학·연 협의체에도 참여하고 있다. 세종도 행복도시건설청이 올해 주요 업무계획에 UAM 도입 추진을 담아 연관 사업이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일차적으로 연구용역에 착수해 현재 큰 사항은 없지만, 철도와 공항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을 보고 충남만의 특수한 사업을 찾아낼 것"이라며 "15개 시·군으로부터도 제안을 받고자 한다. 미래를 내다보고 할 수 있는 것을 하나씩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익준·내포=조훈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