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화 한국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 스마트자동화과 교수 |
태양 다음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별(항성)인 알파 센타우리는 4광년(광년 : 빛이 1년간 진행한 거리 9.46×1012Km) 정도 떨어져 있고, 조디포스터 주연의 영화 '콘텍트'에 나오는 베가성 까지는 26광년 정도, 우리 은하의 중심은 대략 3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인간이 빛의 속력(≒ 300,000 km/s)으로 은하 중심까지 여행을 다녀온다면 6만 년 동안 살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생각은 시간 지연(공간상에서 운동을 하면 미래로 나아가는 시간 비율이 달라지게 된다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광속의 99%로 여행하는 우주인은 11.4광년 떨어진 프록시온 별에 갔다 오는데 지구 시간으로 23년 걸린다. 지구 시간으로 빛이 동일한 별을 갔다 오는 데는 22.8년이 걸린다. 그러나 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우주인에게 있어서는 단지 3년의 세월만이 흐른 것처럼 보일 것이다.
좀 더 속력을 높여 광속의 99.99%로 여행하는 사람은 자신의 시간(우주선 안의 시간)으로 1년에 70광년 이상을 여행하게 될 것이다. 광속의 99.999%로 여행하는 사람은 1년에 200광년 이상을 여행할 수 있는 것이다. 개개인마다 머리 속에 떠오르는 것은 다르겠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은 명백하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으로 시간 지연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면, 현실에서의 시간은 대체 무엇일까? '시계시간'이라 불리는 시간은 우리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될까 아니면 다르게 적용되고 있을까? 수명이 1~3년 정도인 장수풍뎅이와 수명이 100년 이상으로 알려진 북극고래의 시간은 물리적으로 같은 시간일까?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면 시간이 우리가 습관적으로 생각하는 단순한 개념이 아닌 것은 분명해 보인다.
어떤 것에 몰입하게 되면 시간은 현재 그 자체이지만, 몰입에서 빠져나와 정신을 가다듬고 주위를 돌아보면 과거와 미래를 떠올리면서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중요 거래 업체와 약속한 회의 시간에 늦을까 봐 꽉 막힌 도로의 차안에서 초조하게 마음을 태우면 시간은 번개처럼 빨리 지나가지만, 일찍 도착해서 상대 업체를 기다리면 시간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흘러가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처럼 사람이 인식하는 시간의 속도는 항상 다른데 이때 시간의 밀도를 결정하는 것은 몰입이다. 어떤 일에 몰입하게 되면 시간은 광속과 같이 지나가지만 특별한 일 없이 그냥 보내면 시간은 더디게 지나간다.
예를 들어 최신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막 연애를 시작한 연인들의 경우 서로 같이 있는 시간은 쏜살같이 지나가지만 반대일 때 시간은 지루하기만 하다. 그런 의미에서 시간은 반듯하게 직진하는 것이 아니라 휘어있는 곡선이라고 생각한다. 시간을 차곡차곡 쌓아서 밀도를 높일 수도 있고, 반대의 경우 시간의 밀도를 낮추게 된다. 시계 바늘이 가리키는 시간으로는 똑같은 시간이지만 밀도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다를 수 있다. 우리가 굳이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을 빗대지 않아도, 인간의 평균 수명을 80년이라고 할 때, 각자의 삶과 인생의 길이는 사람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필자를 포함한 일부 사람들은 집 또는 다른 장소에서 생각 없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를 가지고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시간에도 의미 없는 동영상 시청 등을 하지 말고 재테크 정보 등 비교적 유용한 테마 검색에 활용한다면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퇴근 후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내려면 시간을 중요도에 따라 비율로 나누어 관리 하는게 좋다고 한다. 100%를 기준으로 30%는 '자기개발', 10%는 '독서' 등으로 분야별로 나누어 관리하면서, 상황에 따라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시간을 제대로 관리하려면 계획보다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하는 게 우선이라고 한다.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하고 해야 할 것을 계획하면 그것은 실천 가능한 계획이 되지만, 해야 할 것만 정하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버리지 못하면 그것은 체중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삼겹살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과 같으며, 또 금연을 계획한 사람이 흡연 가능한 휴게실에서 쉬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 것이다. 하지만 필자를 포함한 몇몇 분들은 이것이 실천되지 않아 고민을 많이 하고 계실 거라 생각된다. 그럼 실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훌륭하게 실천하고 계신분들에게 묻고 싶다. 강대화 한국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 스마트자동화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