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최우혁 균형위 지방시대국장, 문성요 국토부 국토도시실장, 한창섭 행안부차관, 김태흠 중남도지사, 김영환 충북도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조길연 충남도의회 의장, 황영호 충북도의희 의장, 상병헌 세종시의회 의장, 이상래 대전시의회 의장,황수성 산업부 산업기반실장, 김현기 충청권 특자체합동추진단 사무국장. 사진제공=대전시 |
충청 4개 시·도가 추진하는 초광역 협력의 종착지는 '메가시티'다. 500만 충청권이 하나로 뭉쳐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 혁신성장 거점으로 발돋움하는 게 궁극적 목표다. 국토 중심지로서 서울·수도권과 영·호남을 아우르는 충청 메가시티는 지역의 미래이자 곧 생존이다.
1월 31일 공식 출범한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은 초광역협력의 첫 단추다. 그동안 연구용역과 전략 수립으로 밑그림을 짰다면 지금부턴 본격적인 실무작업에 들어간다. 추진단은 4개 시·도가 초광역 협력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특별지자체'를 만드는 작업을 맡는다. 특별지자체는 특정 지자체를 넘어 충청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새로운 행정 모델이다.
때문에 추진단은 규약 제정과 계획 수립 등 일반 사무뿐만 아니라 분야별로 협력할 사안도 발굴한다. 교통과 문화, 산업 등 초광역협력으로 '윈윈(Win-Win)'을 꾀할 수 있는 구체적 과제를 준비할 계획이다. 권역 중심지를 잇는 교통망 확충과 신(新)산업클러스터 조성 등이 해당한다. 대전의 우수한 과학기술 인프라와 세종의 행정서비스 중심 역할, 충남·북의 제조업 기반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앞줄 왼쪽부터 이상래 대전시의회 의장, 이장우 대전시장, 황영호 충북도의회 의장, 김영환 충북도지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조길연 충남도의회 의장, 최민호 세종시장, 상병헌 세종시의회 의장. 사진제공=대전시 |
실제 정부 공모나 기관 이전 등과 같은 국가 주도 사업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다. 앞서 2500억 규모 'K-바이오 랩 허브'를 두고 대전과 충북이 막판까지 경쟁했다. 각자 최적지임을 주장했으나, 승자는 인천이었다. 대전의 우수한 연구인프라와 충북의 집적화된 의료기반을 묶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란 아쉬움이 여전히 많다.
지금도 뇌관은 남아있다. KTX 세종역이 대표적인 문제다. 현재 충북과 세종의 입장 차는 분명하다. 세종은 행정수도로서 세종역 신설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충북은 지역상생에 반하는 행위라고 맞서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 문제도 비슷하다. 올해 예정된 2차 공공기관 이전을 두고 집안싸움이 벌어질 가능성은 남아있다. 지역 간 얽히고설킨 이해관계가 발목을 잡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추진단으로서도 지역갈등 소지가 있는 사안을 적극적으로 다루기엔 부담일 수 있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충청의 특별지자체 도전은 동반성장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큰 성과로 돌아올 것"이라며 "충청권 메가시티 확산과 수도권에 버금가는 새로운 발전 축이 되도록 앞장서겠다"는 입장을 공동으로 밝혔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