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학 목원대학교 총장 |
지역사회 발전에 있어 대학의 역할은 막중하다. 대학 한 곳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유무형의 영향력은 웬만한 기업체보다 훨씬 낫다고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대학이 살아야 지역도 산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모든 상황이 만만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날로 더해가는 저출산 기조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신입생 모집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며, 수도권 대학과의 경쟁은 가속화되고 각종 평가까지 감당해야 하면서 위기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 이는 비단 우리 지역만이 가진 문제는 아니며, 현재 대한민국의 지역대학이라면 어느 곳 할 것 없이 공감하는 문제일 것이다.
얼마 전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지방대학과 지자체가 선순환 발전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자체 주도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를 구축하기로 했다. 기존 중앙정부에서 갖고 있던 대학지원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 또는 위임하는 조치를 올해 5개 내외 시·도에서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2025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 골자이다. 지역을 살리는 교육개혁을 위해 대학과 관련된 중앙정부 규제를 혁파하고 지자체에 권한을 과감하게 이양하겠다는 취지다. 이러한 지역대학에 대한 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대전시에서도 대학과 상생발전 및 지역인재 육성사업을 확대하는 것을 통해 대학이 지역혁신의 핵심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시정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지방분권화 시대에 대학이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이 돼야 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대기업이 부재하고, 제조업 등 산업 기반이 취약한 대전의 경우 더더욱 그러하다. 대학과 산업체 간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창출 및 확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의 혁신주체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은 필수적이다. 이제 대학은 지역 산업체 지원을 위한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경영지원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혁신 플랫폼으로서 기능을 해야 한다. 산학협력이 정상궤도에 오르면 대학의 경쟁력이 올라가고, 지역사회 또한 선순환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필자가 총장으로 있는 대학도 지역과 상생 발전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이 가진 우수한 전문성과 자원을 지역사회 수요와 연계·맞춤화하는 것을 통해 공동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대학과 지역이 함께 상생하는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교육부의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을 통해 우리 대학의 특화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체가 원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공동 기술개발 및 사업화 등 전방위 지원을 통해 취업과 창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갖추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성과 또한 가시화되고 있다.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이다. 검은색은 지혜와 꾀를 상징하고, 토끼는 다산과 풍요, 그리고 민첩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른바 3고(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인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어려움이 클 것이라 예상된다. 지역사회라는 공통의 분모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상생의 의미가 절실히 와닿는 때다. 대학이 우수한 인적 전문성과 물적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해 나가며 토끼와 같이 힘차게 점프하는 희망찬 계묘년 새해가 되기를 기원해 본다.
/이희학 목원대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