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청 전경. |
청년정책은 이장우 시장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분야로서 지향점은 청년이 대전에 머물고 싶도록 도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전시는 27일 청년과 민간전문가,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대전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어 '2023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시행계획은 청년이 생애주기에서 결혼과 출산, 다양한 사회영역에서 안정된 정착을 목표로 수립했다. 일자리(31개), 주거(6개), 교육(6개), 복지·문화(15개), 참여·권리(12개) 등 5개 분야, 70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예산은 1440억 원을 투입한다.
우선 지역 여건에 맞는 일자리와 취업·창업 활성화, 청년들의 일터 안전망 강화 등 일자리 확대와 역량 강화를 위해 31개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대전청년내일희망카드와 대전형코업 청년뉴리더 양성사업, 나노전문인력 양성·일자리 지원사업, 청년창업카드지원 등이다.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환경 마련을 위해선 미혼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대전청년월세지원사업, 청년월세 한시 특별 지원사업,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등 6개 사업에 1042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월세지원사업은 지원 규모를 늘린다. 기존 1200명에서 3000명으로 인원을 확대했고 지원 기간도 10개월에서 12개월로 늘렸다. 청년인턴지원사업 참여자에 대해선 교통비 5만 원을 지급한다. 또 2030년까지 청년주택 2만 호를 공급할 예정이며, 대전 소재 사업장에 근무하는 청년 근로자를 위해 조성한 청년 근로자 기숙사인 대전청년하우스 사업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달라지는 청년 대표 사업. [출처=대전시] |
복지·문화 분야에는 15개 사업, 157억 원을 지원한다. 청년의 사회출발과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미래두배청년통장, 청년내일저축계좌, 보육종료 청년자립수당 지원, 청년 사회적응 지원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청년희망통장에서 명칭이 변경된 미래두배청년통장은 적립액을 월 15만 원에서 월 10~15만 원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적립 시기도 3년(고정)에서 2~3년(선택)으로 변경했다.
청년들의 참여 확대와 정책 반영을 위해선 12개 사업을 준비했다. 대전청년내일센터 운영, 대전청년마을 시범조성, 청년활동공간 운영 등을 통해 지역 청년들의 참여도를 높일 계획이다. 청년마을 사업은 청년들이 정착해 활동하고 있는 밀집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해 주거와 일자리, 휴식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거점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청년들의 사회 진출과 적응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실험공동체 공간이 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시행계획 추진과 함께 청년들의 삶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중장기 단계별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청년 눈높이에 맞는 능동적인 청년정책을 추진해나간다는 목표다. 이장우 대전시장도 신년 브리핑에서 "대전을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 금융지원과 주택보급을 확대하고 청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년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올해 청년정책은 청년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단순히 청년을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청년과 함께하는 정책을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며, "앞으로도 청년들과 함께 대전 청년의 미래를 고민하며 청년정책을 수립·시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