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2강 진위시차(眞僞視次)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2강 진위시차(眞僞視次)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1-2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52강: 眞僞視次(진위시차) : 진실과 거짓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글 자 : 眞(참 진) 僞(거짓 위) 視(볼 시) 次(버금 차)

출 처 : 고사성어 속담사전(故事成語 俗談事典),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실제 눈으로 본 사실도 다를 수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요즈음 대한민국을 뒤흔들어 가장 혼란으로 빠져들게 하는 괴물은 가짜뉴스인 것이 틀림없다.

청담동 술집사건을 비롯해 많은 가짜 뉴스들이 연일 신문과 방송을 통해 국민들을 혼란(사실이다, 아니다.)하게 한다.

사실도 아닌 것이 사실인 것처럼, 또 사실이 허위인양……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목소리 큰 사람이 주도권을 쥐고 흔드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분열되고 찢어져 도저히 봉합의 처방조차 없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자기 생각과 다르면 무조건 막무가 내는 세상이 되었다.

한 스님이 비탈진 계곡을 따라 걷는데 앞서가던 여인이 발을 헛디뎌 물속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었다. 스님은 이것저것 생각할 겨를도 없이 급히 뛰어들어 여인을 끌어안고 나왔다.

그런데 여인이 물속에서 허우적거리면서 물을 잔뜩 들이켠 탓으로 기도(氣道)가 막혀 숨을 쉬지 못했다.

스님은 죽어가는 사람을 보고 자기가 할 일을 다 하지 않는 것은 수도인(修道人)으로서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여 여인을 눕혀놓고 가슴을 눌러 물은 토하게 하고 입을 빨며 인공호흡을 시작했다. 그 덕분에 여인은 '푸우~'하고 숨을 내쉬며 깨어났다.

그때 이 광경을 지켜보던 같은 절의 스님이 소스라치게 놀랐다.

"아니 스님이 여인을 끌어안고 희롱(戱弄)하다니, 여인의 몸에는 손도 대지 말라는 계율(戒律)을 지키지 않는다면 스님이라고 할 수 없지 않는가?"

이어서 "평소 정진에만 힘쓰는 줄 알았는데 저럴 수가?……"하고 분개했다. 그리고 사음계(邪淫界)에 빠진 스님은 응당 징계를 받아야 한다며 그길로 달려가 주지 스님에게 고해 바쳤다. 때문에 여인을 구해준 스님은 파계승(破戒僧)으로 낙인이 찍혀 사문(沙門/ 불교에 출가하여 수도에 전념하는 사람)에서 쫓겨났다.

스님은 참으로 억울한 일이었지만 그렇다고 사람을 붙들고 나는 결백하다고 일일이 변명하고 다닐 수도 없었다. 스님은 이 일을 통해서 내 눈으로 직접 본 사실도 다르게 인식 될 수 있다는 것을 비로소 깨달았다.

진위시차(眞僞視次)란 인간사회에서 일어난 모든 일은 그 일을 보는 관점과 시각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옛 선조들은 욕심보다 자신을 낮추고 남을 배려하는 도량(度量)이 넓은 사람을 군자(君子) 혹은 대인(大人)이라고 했고, 자기 욕심만 차리고 주위를 돌볼 줄 모르는 사람을 소인(小人)이라고 했다.

가짜 뉴스로 잠시 동안만이라도 주위에 관심을 갖게 하고, 그들이 보내주는 작은 기부금에 만족하여 재미를 느껴서, 자기가 하는 일이 사회나 국가적으로 큰 해악(害惡)이 된다는 것을 모르고 오히려 자랑스러워하고, 크게 잘한 일로 치부하고 있는 것을 보면 헛웃음이 절로 나온다.

이러한 사람들이야 말로 국론(國論)을 분열시키고, 상대를 비방하는 풍토를 진작시켜 망국(亡國)의 지름길을 택한 자와 다를 바가 없다.

조선을 위태로운 지경에까지 이르게 한 것도 가짜뉴스를 고집한 간신(奸臣)들의 자기 욕심과 허영(虛榮)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반대로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의(義)를 고집한 충신(忠臣)들 때문에 국가는 다시 살아났음을 역사를 통해 우리는 절실히 느끼고 있다.

능력이 모자라 잘못을 저질렀으면 나중에 잘못을 인정하고 그 죄 값을 받으면 오히려 사람같이 보인다. 그 반대로 자기의 잘못을 끝까지 합리화 하려는 말로 돌려막음질하는 사람을 진정 인간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현명한 선조(先祖)들은 이러한 소인(小人)들에 대하여 경계의 글로 경고하고 있다.

'남을 헤아리려면 먼저 자신을 헤아려라, 남을 해치는 말은 도리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곧) 피를 머금어 남에게 뿜으면 먼저 자신의 입이 더럽혀져야 한다.(欲量他人 先須自量 傷人之語 還是自傷 含血噴人 先汚其口/ 욕량타인 선수자량 상인지어 환시자상 함혈분인 선오기구)' 강태공(姜太公)의 가르침으로 명심보감(明心寶鑑)에 보인다.

자신을 알고 분수를 아는 것이 오히려 자신을 지키는 일이요, 사회와 국가를 살리는 길이다.

많이 배우고 높은 직위에 있는 자들 일수록 더욱 절실히 깨달아 매사에 조심해야 할 것이다.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