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세뱃돈을 경제 교육의 기회로 삼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에 사는 박경남 씨는 설날이면 초등학생 딸과 은행 ATM에 방문한다. 아이 명의로 만든 통장에 세뱃돈을 입금하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다. 자녀에게 경제 관념을 심어주기 고안한 방법으로, 박 씨의 딸도 만족하고 있다. 박 씨의 딸인 A양은 "세뱃돈이 생기면 저금할 계획"이라며 "돈을 모을 수 있고 이자도 생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달라진 세뱃돈 풍속에 은행에선 어린이 적금이나 어린이 펀드 등 금융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신한자산운용의 '신한엄마사랑어린이적립식펀드', 삼성자산운용의 '착한아이예쁜아이' 펀드, 우리은행의 '우리아이행복적금2', KB국민은행의 'KB영유스', 신한은행의 '신한MY주니어 적금', 하나은행의 '아이꿈하나적금' 등이 있다. 어린이펀드는 자녀 명의로 가입하면 10년마다 2000만 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돼 증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어린이 펀드 지난해 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 25%로 부진해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최근엔 세뱃돈 대신 '세뱃주식'을 받는 미성년자도 늘어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2022년 주식을 받은 미성년자는 10만 8106명에 달했다. 평균 57만 원, 2주를 주고받았으며, 삼성전자와 테슬라가 인기였다. 세배주식을 받는 미성년자는 2019년 1만 5000명, 2020년 4만 5000명, 2021년 10만 1000명으로 최근 3년간 급증했다.
전문가는 세뱃돈을 자녀 미래의 종잣돈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정재호 목원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과 교수는 "자녀의 세뱃돈으로 자녀에게 미래를 설계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알려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부모가 단순히 가져가거나 자녀가 계획 없이 소비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보다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